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633.jpg
KCI등재 학술저널

사회복지전공 대학원생들의 참만남 집단(Encounter Group) 경험에 대한 연구: 어려움과 대처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Encounter Group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Focusing on Difficulties and Coping

  • 160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공 대학원생의 참만남 집단 참여 과정에서의 어려움과 대처 경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OO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부 내‘집단상담과 사회복지실천’수업시간에 진행된 참만남 집단 참여자 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일반적 질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자가 경험한 집단상담에서의 어려움은 <개인 내적 차원의 어려움>, <집단구성원과 상호작용 과정에서의 어려움>, <집단특성에 기인한 어려움>이라는 3개의 상위주제와 8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참여자가 경험한 집단상담에서의 대처는 <적극적 대처>와 <소극적 대처>라는 2개의 상위주제와 7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공의 집단상담 참여자들의 어려움과 대처 경험을 통해 집단상담의 실제를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사회복지 교육 내 상담교육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Observed the difficulties and coping experiences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participate in ‘Encounter Group’. The survey and interviews were performed with 10 participants of the ‘Encounter Group during the Group Counseling and Social Welfare Practice class in the OO University s Graduate School. All data were retrieved using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The difficulties in group counseling experiences were divided into three high-level themes: ‘Difficulties at the individual level’,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interaction with group members’, and ‘Difficulties due to group characteristics’ and eight sub-themes. Participant s coping experience in group counseling was divided into two high-level themes: ‘Active coping’ and ‘Passive coping’ and seven sub-themes. Result conveys the reality of group counseling through the difficulties and coping experiences from the participants, and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revitalizing counseling education in Social Welfare study.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