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580.jpg
KCI등재 학술저널

초등교사 소진의 선행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The Meta-Analysis on Antecedent Variable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Burnout

이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초등교사 소진과 선행변인 간 평균효과크기를 밝히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DB를 활용하여 관련 문헌을 수집하였고, 최종적으로 국내 문헌 27편(학위논문 15편, 학술지 12편)을 선정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선정한 문헌은 CMA (Comprehensive Meta Analysis) 3.0 프로그램으로 동질성 검정, 출간 편향 검정, 평균효과크기 분석을 수행하였다. 평균효과크기는 Cohen(1988)의 기준을 기반으로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교사 소진과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 학생의 문제행동은 유의한 정적 평균효과크기를 보였고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과 교사효능감 및 하위요인,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유의한 부적 평균효과크기를 보였다. 둘째, 소진 하위요인과 선행변인의 평균효과크기는 소진 하위요인별로 상이하였다. 먼저 정서적 고갈은 직무스트레스 및 하위요인,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유의한 정적 평균효과크기를 보였고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부정적 기분조절 기대치, 사회적 지지 및 하위요인, 교사효능감 및 하위요인과 유의한 부적 평균효과크기를 보였다. 다음으로 비인간화는 직무스트레스 및 하위요인과 정적 평균효과크기를 보였고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사회적 지지 및 하위요인, 교사효능감 및 하위요인과 유의한 부적 평균효과크기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개인적 성취감 감소는 직무스트레스 및 하위요인과 유의한 정적 평균효과크기를 보였고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사회적 지지 및 하위요인과 유의한 부적 평균효과크기를 보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결론 및 학술적,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average effect size of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burnout and its antecedent variabl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literature was collected based on the PRISMA flow chart. 27 papers (15 dissertations and 12 journal papers) were selected and used for analysis. The selected literature was analyzed using meta-analysis research method, and homogeneity test, publication bias test, and effect siz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3.0. Effect size was classified into high effect size, medium effect size and low effect size by applying Cohen (1988) criteria.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elementary teachers burnout and sub-factors of job stress, students behavior showed positive significant static mean effects whil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teacher efficacy and its sub-factors, self-oriented perfectionism showed negative significant mean effect size. Second, The average effect size of elementary teachers’ burnout sub-factors and antecedent variables are differed by each sub-factors. Emotional exhaustion, job stress and its sub-factors,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howed positive significant static average effect size while sub-factors of ego resilience, negative mood control expectations, social support and its sub-factors, teacher efficacy and its sub-factor showed negative significant average effect size. Depersonalization, job stress and its sub-factors showed positive significant static average effect size while sub-factors of ego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its sub-factors, teacher efficacy and its sub-factor showed negative significant average effect size.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and job stress and its sub-factors showed positive significant static average effects while sub-factors of ego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its sub-factors showed negative significant average effect size. Finall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nd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practical application were present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논의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