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580.jpg
KCI등재 학술저널

미래 농업 R&D 인력개발 방향 및 방안에 관한 인식 및 요구

An Analysis on the Perception and Needs for the Future Agricultural R&D Workforce Development Directions and Strategies

이 연구의 목적은 미래 농업 R&D 인력개발 방향 및 방안을 도출하고 이에 관한 인식 및 요구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Creswell(2014)이 제시한 혼합연구 방법 중 순차적 탐구 혼합 연구 방법을 기반으로 농업 R&D 및 인력개발 전문가 FGI, 농업 R&D 실행 주체(대학, 공공기관 및 산업체)별 관리자 인터뷰, 농업 R&D 실행 주체별 재직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미래 농업 R&D 인력개발 방향으로서 농업 R&D 경쟁력 함양을 위한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 농업 R&D 무경계 학습환경 제공, 농업 R&D의 공익적 가치와 산업적 요구 반영, 농업 R&D 인력 대상별 맞춤형 경력개발 지원의 4개 방향이 도출되었다. 둘째, 미래 농업 R&D 인력개발 방안으로서 농업 R&D 경쟁력 함양을 위한 창의융합의 필요성 인식 제고, 창의융합형 농업 R&D 수행 환경 구축 등 9개 방안이 도출되었다. 셋째, 농업 R&D 인력은 미래 농업 R&D 인력개발 방안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한 반면, 충분성은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공기관의 농업 R&D 인력은 상대적으로 미래 농업 R&D 인력개발 방안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였지만 산업체 농업 R&D 인력은 필요성을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술적,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rive directions and strategies for the future agricultural R&D workforce development, and to identify the perception and needs for them. This study follows steps of sequential exploratory mixed method presented by Creswell(2014). FGI on specialists of agricultural R&D and of HRD, interviews with managers of agricultural R&D organizations(universities, public institutions, and industries), and survey of personnel of those agricultural R&D organizations were conducted. Result of the analysis are presented in three main categories: directions, strategies, and perception-needs. First, four directions for the future agricultural R&D workforce development were derived: fostering creative convergence talent to increase agricultural R&D competitiveness, providing a non-boundary learning environment, reflecting the public value and industrial needs of agricultural R&D, and supporting customized career development for each agricultural R&D employees. Second, nine strategies to develop agricultural R&D employees were drawn up, including raising awareness of the need for creative convergence to increase agricultural R&D competitiveness, establishing a creative convergence R&D performance environment, and seven others. Third, about perception-needs, agricultural R&D personnel highly perceived the necessity of agricultural R&D workforce development, while its sufficiency was relatively low. In addition, while agricultural R&D personnel of public institutions had a higher level of perception of the needs, R&D personnel of industries had a lower level of perception of the needs. Finally, academic and practical suggestion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