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초등교사들의 무용교육 인식형성 및 문화적 학습모델에 대한 교수전략 탐색

A Study on Teaching Strateg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ance Education Formation and Cultural Learning Model

DOI : 10.15815/kjcaes.2021.16.3.105
  • 78

본 연구는 초등교사들의 무용교육인식 형성 및 문화적 학습모델에 대한 교수전략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둔다. 초등교육에서 무용교과 활용은 거의 교육대학교 무용교육 경험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예비초등교사들이 무용교육을 인식하는 과정은 미래지향적으로 교수전략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초등무용교육은 일선교사들의 교육형태가 어떻게 발현되는지에 따라서 주입된 예술교육이 아닌 창의적인 교수전략 활용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초등교육에서 무용교과는 체육교과 내 표현활동영역이다. 움직임을 다루는 것은 같은 맥락이지만 무용의 움직임요소, 표현활동영역은 체육교육과는 다르게 예술이라는 장르가 본질적으로 내재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초등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무용교육에 대한 인지적, 사회적 측면은 문제인식으로 거듭나며 문화적 행위로 실천적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라 할 수 있다. 때문에 초등교사들이 무용교육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는 초등 학습자들의 평생 삶과 연관 지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적 학습기제 즉, 신체성, 미메시스, 의례, 수행성이 다양한 교육현장에서 전략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데 이론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eaching strategies for the formation of dance education awareness and cultural learning model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use of dance curriculum in primary education is mostly done by experience in dance education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Therefore, the process of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ing dance education can have a big impact on teaching strategies in a future-oriented way. In addition, elementary dance education could be reborn as a creative teaching strategy rather than an art education injected depending on how front-line teachers educational forms are expressed. In elementary school, dance is an area of expression in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Dealing with movement is in the same context, but the movement elements and expression areas of dance are inherently embedded in the genre of art, unlike physical education. As a result, the cognitive and social aspects of dance education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reborn as a problem and are important in practice as cultural acts. Therefore,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 dance education can be linked to the lifelong lives of elementary school learners. Thus, the study is believed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cultural learning mechanisms, namely physicality, mimesis, rituals, and performance, to be strategically utilized in various educational sites.

Ⅰ. 들어가며

Ⅱ. 초등교사의 문화적 학습 기제에 관한 이론적 접근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