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적장애 어머니를 둔 가족을 지원한 실무자들의 경험과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Inquiry on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the Practitioner who Participated in supporting Moth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ir Children
본 연구는 지적장애 어머니를 둔 가족을 지원한 경험이 있는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그들의 경험과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5년 이상의 지원 경력을 가진 서울시 여성장애인 홈헬퍼, 경기도 장애인맞춤형도우미, 장애인종합복지관 사례관리사 총 1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참여자의 일정에 맞춰 개별 또는 소집단면담(focus group interview)을 진행하였다. 모든 면담은 전사한 후 연속적 비교법(constant comparative method)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질적 분석 결과 ‘나를 거부하지만 또 너무 필요로 하는 가족’, ‘내겐 너무 낯설고 어려운 일’,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된 어머니-자녀-나’, ‘보다 나은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바람’의 4가지 대주제와 14가지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 어머니를 둔 가족을 지원한 실무자들의 경험과 인식을 심층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지적장애 어머니와 가족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 첫 시도라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 basic data for establishing social support network of the moth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heir family members, having a purpose to figure out their experience and recogni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people having supported moth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heir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10, who are the home helpers of Seoul City with more than 5 years supporting experience, the custom helpers of Gyeonggi-do Province, and the persons in charge of case management in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And it was conducted by individual interviews or focus group interviews on their schedule. Every interviews were analyzed with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nd those were classified in 4 main-themes(family who denies me and needs me as well, the thing that is very strange and difficult to me, the mother-children-me which is changed as time goes by, wishes for providing the better support)and 14 sub-themes after qualitative analysis. This study is the first meaningful attempt to seek an effective supporting method for the families through investigating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hands-on workers involved in the supporting families having moth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