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성폭력 피해 여성의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A Narrative Inquiry of a Sexual Violence Victim s Art Therapy Experience

  • 432

본 연구는 성폭력 피해 경험이 있는 여성이 미술치료 과정에서 경험한 것이 무엇이며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탐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참여자는 성폭력 피해 경험이 있는 성인 여성으로 2019년 9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주 1회, 약 50분씩 비구조화된 미술치료 방식으로 총 52회기 개인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 참여자의 동의서를 받고 미술치료를 실시하였으며 매회기 녹취, 관찰일지, 미술 작품, 연구자와 참여자의 저널, 면접지 등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미술 작품과 면담자료는 내러티브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성폭력 피해 여성은 ‘악은 일반적일 수 없어요’, ‘내 몸에 남은 역겨운 증거’, ‘팔․다리는 의미 없는 소모품’, ‘그날 나의 영혼은 죽었다’, ‘그림이 저를 살려요’의 5개 경험 이야기를 발견하였다. 그 경험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제 도망가지 않겠다.’ 둘째, ‘그림으로 희망을 말하다.’로 성폭력 피해 여성에게 미술치료 경험은 자신의 상처와 만나고 상처를 창의적 미술 작품으로 표현하는 역할을 하였고, 이는 자신과 타인, 나아가 세상을 향해 성폭력에 대한 경각심과 예방의 중요성을 알리는데 가치가 있다.

This research aimed to explore what a female sexual violence survivor experiences during art therapy and what those experiences mean. The study participant was a female adult who took part in unstructured art therapy once a week for nearly 50 minutes per session, a total of 52 times from September 2019 to October 2020. For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ritten consent form was received before executing and recording the art therapy sessions; the observation log, artwork, the journal between researcher and participant, and the interview log were collected at each therapy session. This research narratively analyzed collected pictures and interviews. During that process, the rape victim discovered five experiential stories: “evil cannot become generalized.” “disgusting evidence left on my body.” “my arms and legs are useless tools.” “that day, my soul was murdered:,” and “painting brings me back from death every day.” The meanings of those stories were twofold for the participant; First, “I will not run away anymore,” and second, “I speak hope through paintings.” This research presented an art therapy experience that provided the sexual violence victim with an opportunity to confront her wounds and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her ability to express her pain from trauma through her original artworks. The results illustrate that such art therapy is a valuable achievement in not only enhancing the ability to express trauma for the participant but also in focusing the world’s attention on sexual assault and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proper prevention to prevent such assault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경험 이야기

Ⅳ. 경험의 의미

Ⅴ. 함 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