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중학교 진로전담교사 직무수행도 유형 분류와 관련 변인 분석

Middle school career guidance teachers’ job performance types and their relevant variables

  • 318
커버이미지 없음

이 연구는 중학교 진로전담교사들의 직무수행 수준 패턴에 어떤 잠재된 하위유형(집단)이 존재하는지 탐색하고, 각 계층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개인특성, 학교배경 및 운영과정 요인과 분류된 계층별 만족도와 진로개발역량 효과성 차이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 3차년도(2019)의 400개 중학교의 진로전담교사(남교사 138명, 여교사 262명)와 8,917 중학생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분석도구로 Mplus 8.4를 통해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하였다. 특히, 공변인에 의한 계층변동을 방지하고 분류 오류를 반영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R3STEP)과 계층별 평균비교(Lanza’s DCON)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낮은 직무수행형, 기본 직무수행형, 높은 직무수행형 3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계층분류의 예측요인과 관련해서, 개인특성으로 여교사이고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학교배경으로는 국·공립, 대규모, 보직임명, 그리고 독립된 진로교육 부서, 전용공간 설치가, 마지막으로 운영과정 요인으로는 관리자 인식 및 지원수준 중에서 예산지원, 시설·공간 지원, 지역사회 협력수준이 높을수록, 또한 담임교사와 연계 수준이 높을수록 보다 높은 직무수행 계층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진로교육 효과성 분석 결과로, 진로전담교사 직무수행도 유형별로 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는 차이가 있었지만, 학생 진로활동 만족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는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수행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집단 유형별 맞춤형 지원과 정책 방향에 대한 실증적인 기초자료와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job performance profiles of middle school career guidance teachers and examine whether a teacher’s demographics, school background, and operational factors predict profile membership and their differential effectiveness for career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data from the 2019 Survey on Career Education by KRIVET. The subjects included 400 middle school career guidance teachers and 8,917 students.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Mplus 8.4. The results yielded three distinct latent profiles, characterized by high, medium, and low job performance. Type 1, whose members had excellent job performance overall, was named the ‘high-level type’. Type 2, whose members had an intermediate level of job performance, was named the ‘basic type’. Lastly, Type 3, whose members had a low level of job performance, was named the ‘low-level type’. As for the predictors of class classification, being female and having work experien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School type and size, the appointment of a head teacher, and having an independent space and department als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Lastly, the support of the school principal and cooperation with homeroom teachers positively affected the job performance profile of guidance teachers. Regarding job performance effectiveness,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ccording to the type of job performance but not in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career activities. Implications for creating a policy for cultivating the job performance of career guidance teachers a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