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영성 지능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Spiritual Intelligence Self-Report Inventory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남녀 201명(평균연령 23.46세)에게 한국어로 번역된 SISRI, 종교성향 질문지, 주관적 안녕감 척도를 실시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후, 2차 설문을 실시하여(105명, 평균연령 42.05세) 1차 요인분석으로 도출된 요인 모델의 적합도를 재검증함으로써 교차타당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17문항의 4요인 모델의 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4요인은 원판과 동일하게 도출되었지만 일부 문항은 교차-부하되어 삭제되었다. 둘째, SISRI의 전체 신뢰도는 Cronbach’s α=.88로 나타났으며 각 하위척도에서는 .67~.87로 관찰되었다. 셋째, SISRI와 종교성 질문지 측정치간의 상호상관을 분석한 결과, 영성지능은 내재적 종교성과는 낮은 수준의 정적 상관을, 외재적 종교성과는 무상관을 보여, 변별타당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영성지능 수준에 따른 행복점수를 비교한 결과, 영성지능 고집단은 저집단에 비해 더 행복한 것으로 나타나 동시타당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차타당도를 확인한 결과, 1차 설문 표본에 비해 2차 설문 표본의 요인 모델 적합도가 낮게 관찰되었다. 그러나 적합지수는 표본크기에 많은 영향을 받는 값이므로, 추후 사례수를 보강하여 구성타당도를 재검증할 필요가 있겠다. 정신 건강을 촉진하는 예측인자로서 영성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국내 성인에게 적용할 수 있는 영성 척도를 타당화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piritual Intelligence Self-Report Inventory (K-SISRI). In Survey 1, two-hundred and eight community-dwelling young adults completed the SISRI translated into Korean and the instruments assessing religiosity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17-item K-SISRI that displays good internal reliability as well as good fit to the four-factor model consisting of critical existential thinking, personal meaning production, transcendental awareness, and conscious state expansion. A correlational analysis with the measure of religiosity provides evidence for discriminant validity, and the results of an independent t-test examining that the group with high spiritual intelligence is happier than the group with low spiritual intelligence display concurrent validity. In Survey 2, however,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s that the model fit is lower than in Study 1. This result may be due to the small sample size. Therefore, in future studies, it will be necessary to re-verify the factor validity by reinforcing the number of cases. Nevertheless, the K-SISRI shows good reliability and validity overall. This scale could be used in the field of coaching, clinical and counseling interventions to measure and promote spirituality.
방 법
결 과
논 의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