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984.jpg
KCI등재 학술저널

미적 체험 속 승화에 관한 내러티브와 치료기전으로서의 승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Narrative about Sublimation in the Asthetic Experience and Sublimation as a Therapeutic Mechanism

DOI : 10.25297/AER.2021.79.195
  • 134

본 연구는 연구참여자들의 미적 체험에 관한 내러티브를 통해 치료기전으로서의 승화의 의미를 구명하고 미술치료 현장에서 과소평가 되어가는 미술의 순순한 치료적 기능을 더욱 견고히 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다양한 미적 체험을 가진 연구 참여자 4인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를 Clandinin과 Connelly의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공간을 기반으로 분석하여 진행하 였다. 그 결과 첫째, 연구참여자들이 저마다의 계기로 진입한 미적 체험의 공간은 그들에게 가장 안전한 가상의 공간을 제공 하였으며 그들은 그 안에서 내면의 만족감을 느낄 수 있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작품에 자기 내면을 투사하는 관계와 그것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분리된 관계를 형성하고 상호작용하며 욕망의 구조를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은 미적 체험 속에서 퇴행과 집착에 관한 반복은 멈추고 에너지가 변화되는 승화를 경험하였으며 그것은 일시적인 효과가 아니라 주체화를 통해 지속해서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meaning of sublimation as a therapeutic mechanism through narratives about the aesthetic experiences of participants and to further strengthen the mild therapeutic function of art, which is underrated at the art therapy site. To this end, proceed by analyzing narratives about the experiences of four participants with diverse aesthetic experiences based on Clandin & Connelly s three-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 As a result, first, the space of aesthetic experience that participants entered through their own opportunities provided them with the safest virtual space, and they could feel inner satisfaction. Second,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discover the structure of desire through forming and interacting with separate relationships that project their inner self into the work and looking at it objectively. Third, In aesthetic experience, the participants stopped repeating regression and obsession and experienced sublimation in which energy changed and It has been shown that it is continuously affecting life through Principalization, not temporary effects.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승화에 대한 내러티브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