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밀레니얼세대의 직업가치가 첫 직장 근속기간에 미치는 영향 - 개인-직무적합성과 일자리만족의 연속매개효과 -

Effect of millennials’s work value on their first tenure - serial mediation effect of person-job fit and job satisfaction -

  • 343

본 연구는 밀레니얼세대의 높은 퇴사율과 1년 이내 조직퇴직률의 사회적 문제를 배경으로 밀레니얼세대의 근속기간을 늘리기 위한 방안을 HRD 관점에서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의 가장 최근 자료인 2019년(GOMS 2018) 자료에서 밀레니얼세대(1985년-1995년생)의 정규직 1,977명의 응답값을 활용하여 직업가치(내재적/외재적), 개인-직무적합성, 일자리만족, 첫 직장 근속기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밀레니얼세대의 내재적 직업가치만이 일자리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밀레니얼세대의 내재적 직업가치와 일자리만족의 관계에서만 개인-직무적합성이 매개하였다. 셋째, 밀레니얼세대의 내재적 직업가치와 외재적 직업가치는 첫 직장 근속기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밀레니얼세대의 내재적 직업가치 및 외재적 직업가치와 첫 직장 근속기간의 관계에서 개인-직무적합성은 매개하지 않았다. 다섯째, 밀레니얼세대의 내재적 직업가치와 첫 직장 근속기간의 관계에서만 일자리만족이 매개하였다. 여섯째, 밀레니얼세대의 내재적 직업가치와 첫 직장 근속기간의 관계에서만 개인-직무적합성 및 일자리만족이 연속매개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HRD 관점에서 밀레니얼세대 구성원의 근속기간을 늘리기 위한 이론적 및 실천적 시사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in order to increase millennials’s tenure from the perspective of HRD with the background that social problems of the high turnover rate of millennials and the organizational retirement rate within one year. We used the secondary data set of 2019 (GOMS 2018), the most recent data of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provid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e used 1,977 responses of full-time millennials (born 1985-1995)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value (intrinsic/extrinsic), person-job fit, job satisfaction, and the first tenur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nly the intrinsic work value of millennials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person-job fit mediated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work value and job satisfaction of millennials; third,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work values ​​​of millennials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first tenure; fourth, person-job fit did not medi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work values ​​​​of millennials and their first tenure; fifth, job satisfaction mediated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rinsic work value of millennials and their first tenure; sixth, personal-job fit and job satisfaction serially mediated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rinsic work value of millennials and their first tenur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provided implications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of HRD perspective.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