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업치료사의 언어폭력 경험이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ist s Experiences of Verbal Violence on Job Stress and Job Intention
- 한대성(Han, Dae-Sung) 정은화(Jeong, Eun-Hwa)
-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 재활치료과학
- 재활치료과학 제10권 제3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1.08
- 123 - 135 (13 pages)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 언어폭력 경험이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정도를 파악하고자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에 이용된 분석 자료는 모바일을 통하여 연구에 참여한 작업치료사의 설문지 316부였으며환자로부터의 언어폭력 경험, 보호자로부터의 언어폭력 경험, 직무 스트레스, 이직 의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분석 결과, 작업치료사의 언어폭력 정도는 보호자보다 환자로부터의 경험이 더 높다고 조사되었다. 작업치료사의 직무 스트레스 정도는 평균 2.79(±1.15)로 조사되었으며, 이직 의도는 3.41(±1.19) 로 보통 이상으로 조사되었다. 언어폭력 정도와 직무 스트레스, 이직 의도 간 상관관계는 모든 변수에서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작업치료사가 경험한 언어폭력의 정도와 직무 스트레스, 이직 의도를 알 수있었으며, 연구의 각 변인 간 상관관계를 알 수 있었다. 추후 좀 더 광범위한 모집단의 표집을 통한후속 연구 등이 요구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degree of verbal violence experienced by occupational therapist s and its effects o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Methods : The data analyz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using a mobile device. We collected 316 responses to a questionnaire. Occupational therapists responded to the study. We analyzed their experiences of verbal violence from patients, and caregiver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s.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occupational therapists experienced greater’ verbal violence from patients than caregivers. The average job stress level was 2.79 (±1.15). The turnover intention was 3.41 (±1.19), which was higher than normal. The degree of verbal violence,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for all variables. Conclusion : A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degree of verbal violence experienc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Further investigations with a wider sample population are required to verify the result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