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인의 건강과 질병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기능 구성요소에 관한 사전연구
델파이 연구
- 김아람(Kim, Ah-Ram) 정성우(Jeong, Seong-Woo) 정지인(Jeong, Jiin) 김정란(Kim, Jung-Ran)
-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 재활치료과학
- 재활치료과학 제10권 제3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1.08
- 83 - 96 (14 pages)
목적 : 개인의 성장과 사회적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국내 가족기능 요소를 개발하기 위해, 가족기능 평가도구인 McMaster 모델을 기반으로 국내 문화와 적합한 내용을 도출하여 가족기능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델파이 기법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가족기능과 관련이 깊은 분야의 전문가 패널 12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기법을 실시하였다. 기간은 2020년 5월부터 6월까지 총 7주간 진행되었으며, 델파이 조사는 2회 실시하였다. 1차 조사에서는 McMaster 모델의 국내 문화와 적합한 내용을 선정 및 한글화를 진행한 후, 구성요소에 관한 폐쇄형항목 및 개방형 항목을 사용하여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집하였다. 2차 조사에서는 구성요소의 적합도및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제시된 53개의 항목에서 18개의 항목이 삭제되었고, 11개의 항목이 추가되었으며, 의미가 중복되는 항목을 제외하여 40개의 항목이 선정되었다. 이 후 이해가 어려운 문장을 친숙한어휘로 수정하고 2차 조사지를 구성하였다. 2차 델파이 결과에서는 총 33개의 항목이 선정되었으며, 최종 선정된 구성요소에 대한 내용타당도 비율은 0.76, 안정도는 0.28로 도출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국내 가족기능 평가를 위한 영향요소들은 가족기능을 포함하고 임상현장또는 관련연구에서 가족기능 평가 및 중재를 시행하는데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Korea-type family function factors that affect individual growth and social activities, and examine check the appropriate contents and domestic culture components based on the McMaster model, a family function evaluation tool, through the Delphi technique. Methods : The Delphi technique was applied to 12 expert panels in fields related to family function. The period lasted 9 weeks, from May to June 2020.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wice. In the first survey, the domestic culture and appropriate contents of the McMaster model were selected and localized, and expert opinions about the components were collected using closed and open-ended questions. In the second survey, the fitness and importance of the components were investigated. Results : As a result of the first Delphi investigation, 18 items were deleted from the 53 items presented. After adding 11 items and excluding any overlapping items, a total of 40 items were selected. Subsequently, sentences that were difficult to understand were revised to familiar vocabulary. A second survey was constructed, with an example sentence. In the second Delphi investigation, 33 items were selected. The average content validity ratio for the final selected component was 0.76, and the stability was 0.28. Conclusion : Family function and the factors influencing domestic family function identified though this study can be used to conduct family function evaluations and interventions in clinical sites or relevant research studie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