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954.jpg
KCI등재 학술저널

작업치료에서 몰입경험 이해를 위한 이론적 고찰

Theory Review for Understanding Flow Experience in Occupational Therapy

DOI : 10.22683/tsnr.2021.10.3.071
  • 157

서론 : 본 연구는 대상자의 신체기능과 활동 및 참여를 위해 다양한 치료적 중재를 실시하는 작업치료분야에 몰입경험 이론의 소개를 목적으로 한다. 본론 : 작업치료 영역에서의 몰입경험 이해를 위해 국내·외 문헌고찰을 통한 몰입경험의 개념과 특징, 단계와 뇌과학적 특성, 측정방법 및 관련 연구들을 정리하였다. 작업치료에서 대상자의 몰입경험은‘시간이 흐르는 것을 잊으면서 하고 있는 치료 활동에 완전하게 빠져드는 심리적 상태’로 정의할 수있다. 대상자는 과제에 대한 명확한 목표를 인식하며, 도전과 기술 수준이 높은 상태로 균형을 이룰때에 몰입을 경험하게 된다. 선행 연구에서 몰입을 경험한 대상자는 주의 및 집중, 집행 기능, 상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수행 증진과 긍정적인 경험에 긍정적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 국내 작업치료 영역에서 다양한 치료적 중재에 대상자의 몰입경험이 고려된다면 치료 결과의효과는 보다 촉진될 것이라 생각되어진다.

Introduction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introduce the theory of flow experience to occupational therapy for various therapeutic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subject s physical function, activity, and participation. Review : To understand the flow experience in occupational therapy, this study summariz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flow experience, the stages and the scientific characteristics of the brain, measurement methods, and related studies through a review of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In occupational therapy, the subject s flow experience can be defined as ‘a psychological state in which the subject is completely flow in the therapeutic activity he is doing while forgetting the passage of time’. Subjects perceived a clear goal for the task and experienced engagement when the challenge was balanced with a high level of skill. In a previous study, positive changes in attention and concentration, executive functi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performance of daily living activities were confirmed in subjects who encountered the flow experience. Conclusion : If the subject’s flow experience in various therapeutic interventions in domestic occupational therapy is considered, the treatment effects will be further promoted.

Ⅰ. 서 론

Ⅱ. 본 론

Ⅲ.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