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moting Fishery Cooperative: Window of Opportunity toward Sustainable Fishery Development (Case Study: Karangsong Village, Indramayu-Indonesia)
- 영남대학교 박정희새마을연구원
- 새마을학연구
- 제3권 제2호
-
2018.1273 - 96 (24 pages)
-
DOI : 10.22963/jos.3.2.201812.73
- 25

2015년부터 외국 선박 운영을 금지하는 인도네시아 수산 정책이 실시된 이후로 현지 어부들이 어업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열렸다. 현지 어부들의 전통적 특성을 감안할 때, 모든 역량 구축 노력은 상향식 방법이 더 적절하다. 따라서 협동조합을 시행 주체로 하는 지역공동체 발전의 개념이 가장 적합한 대안이 될 것이다. 카룽송 (Karangsong) 지역에 있는 미나 스미트라 협동조합 (The Mina Sumitra Cooperative)은 놀라운 매출액과 자산으로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성공적인 수산업 협동조합 중 하나다. 따라서 미나 스미트라 협동조합의 경험은 수산업 부문에서 공동체 개발 개념을 기반으로 협동조합을 발전시키는 데 있어 좋은 교훈이 될 것이다. 본 논문은 미나 스미트라 협동조합이 어떻게 카룽송 지역에서 지속 가능한 수산업을 실현하기 위해 지역사회발전의 개념을 성공적으로 구현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관련된 사례 연구를 실시하기 위해 먼저 수산업 발전, 지역사회 발전과 협동조합에 대한 개념 조사가 이루어졌다. 이 분석은 긴급성의 범위와 협동조합 발전의 패턴, 그리고 지역 사회 개념의 구현으로서 협동조합의 성과에 기반하여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어민들의 인간성과 수산업의 경기주기가 협동조합의 발전에 있어서 가장 논리적인 근거임을 확인했다. 기술적인 필요성에 대응하기 위해, 협동조합 발전의 패턴은 수산업의 경기주기의 흐름과 포괄적인 적용 범위 두 가지에 의해 결정지어졌다. 그 결과 협동조합은 어민들의 요구를 충족시켜주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수산업의 가치사슬로부터 지역 경제 발전과 지역 문화 보존을 위한 승수 효과도 제공함을 알 수 있다.
Since 2015, Indonesia’s fisheries policy in prohibiting the operation of foreign vessels has opened opportunities for local fishermen to utilize fishery resources. Considering th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f Indonesia’s local fishermen, all capacity building efforts are better directed to bottom-up methods. Accordingly, the concept of community development becomes the most suitable alternative, with cooperative media as an implementer. The Mina Sumitra Cooperative in the Karangsong region is one of the most successful fisheries cooperatives in Indonesia, characterized by the remarkable turnover and assets. Therefore, the Mina Sumitra Cooperative experience would become an interesting lesson in the practice of promoting cooperatives based on community development concept in the fisheries sector. This paper aims to analyze how the Mina Sumitra Cooperative successfully implements the concept of community development to realize sustainable fisheries in the Karangsong region. A desk study approach was applied to explore the concept of fisheries development, community development, and cooperative to make a relevant case study. The analysis will be based on the scope of urgency and patterns of cooperative development, as well as outcomes of cooperative as an implementer of the community development concept. Our findings indicate that the human-nature of fishermen and the fisheries business cycle-related are the most logical background of cooperative development. As for responding to technical needs, the patterns of cooperative development are formulated both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fisheries business cycle and within comprehensive coverage. As a result, cooperatives not only play a role in fulfilling fishermen’s needs but also provide the multiplier effects from the value chain of the fishery activities for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of local culture.
I. Introduction
II. Method
III. Result
IV. Conclusion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