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995.jpg
KCI등재 학술저널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Entrepreneurship and Family Socio-Economic Development in Rwanda

  • 3

본 연구에서는 여성 기업가정신과 가족의 사회경제적 성장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목적은 여성 기업가정신이 그들 가족과 가정의 사회경제적 성장에 기여하는지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여섯 개의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였다. 1)여성 기업가들이 어떤 도전들에 직면하고 있는지를 알아본다; 2) 레바-운율웨 협동조합에서 여성의 사회경제적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평가한다; 3) 기업가 정신과 사회경제적 성장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한다; 4) 카욘자 지역 여성들이 직면하고 있는 주요 문제점들을 분석한다; 5) 카욘자 지역 여성들에게 권한과 능력을 부여하기(empower) 위해 여성 기회센터가 사용하고 있는 운영방식에 대해 소개한다; 그리고 6) 여성 임파워먼트와 사회경제적 발전사이의 관계를 확인한다. 본 연구에서는 무한가 지역의 수공예품 제조 협동조합과 가하야 링크스 기업과 연계된 르완다 동부지방의 여성기회센터의 여성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층화표본 및 단순무작위표본 방식을 사용하여 67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일차 및 이차 자료를 사용해서 질적 및 양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일차 자료는 반구조적 설문지와 인터뷰 방법을 통해 수집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질적 일차 자료는 인터뷰를 통해 수집한 반면 양적 일차 자료는 짐바베 남부에 있는 무한가 지역의 아가세케 수공예품 협동조합 여성 조합원들을 대상으로 반구조적 설문을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여성 기업가정신과 가족의 사회경제적 성장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기업가의 일상 사업활동의 성과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경영 숙련도의 결여를 초래할 수 있는 훈련 및 교육 부족으로부터 발생하는 모든 형태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정책을 제안한다. 가족의 사회경제적 성장은 여성기업가들의 사업성과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사업성과는 여성기업가의 경영 숙련도에 달려 있고, 그들의 경영 숙련도는 효과적인 교육 및 훈련을 통해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효과적인 다양한 교육 및 훈련을 통해서 여성기업가들의 경영 숙련도를 높임으로써 가정의 사회경제적 성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르완다 정부의 여성 및 농가의 사회경제적 발전을 위한 정책개발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정부는 농촌 가정의 사회경제적 성장을 위해 직접 금융지원, 교육 및 훈련, 지역사회 지원활동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지역주민들의 자조노력을 촉진함으로써 여성 기업가들을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is undertaken with the aim of assessing whether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women in entrepreneurship and their family’s socio-economic development.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ssess the contribution of women entrepreneurs on socio-economic development of their families and households. It was guided by six specific objectives: 1) to identify challenges faced by women entrepreneurs and how they are addressed; 2) to assess the drivers that influence women’s socio-economic development in Reba-Unyurwe cooperative; 3) to highlight the correlation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socio-economic development; 4) to analyze the main challenges faced by women in Kayonza District; 5) to ascertain the mechanisms used by women’s Opportunity Center to empower women in Kayonza District; and 6)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empowerment and socio-economic development.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women members of handcraft making cooperative in Muhanga District and the Women’s Opportunity Center in Eastern Province (Rwanda) with a connection to Gahaya Links Company. The sample size was 67 people. The study used stratified and simple random sampling techniques. To get the finding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was focused on both primary and secondary sources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two primary data collection methods: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and interview guide. Primary qualitative data was collected by the use of the interview guide while primary quantitative data was gathered by the use of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administered to the women members of Agaseke Handcraft Cooperative in Muhanga District, Southern Province. This research conclud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women entrepreneurship and family socio-economic development. The research recommends that women entrepreneurs must minimize all loss caused by lack of training and low level of education that leads to lack of managerial skills in order to achieve high level of performance in their routine activities of business, since the level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depends on the performance of their businesses. This study could be a significant foundation on which policies for improving family scio-economic development in rural areas of Rwanda. The Government needs to promote women entrepreneurs by encouraging grassroots self-help efforts in several ways, including funding direct operations, training and education, and subsidiary activities of community groups.

I. Introduction

II.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III. Research Model

IV. Research Methods and Data Collection

V. Data Analysis and Discussions

VI.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