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복지국가 실현을 위한 법정책적 과제
Challenge of the Legal Policy on Sports for Realizing Welfare State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 제10권 제1호
- : KCI등재
- 2007.02
- 95 - 122 (28 pages)
생활체육정책의 이상은 모든 사람을 위한 스포츠 정책의 제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동안의 생활체육정책에는 스포츠 소외계층을 위한 정책이 상당히 부족하였다. 여기서 스포츠 소외계층이란 공공 정책의 관심과 지원 없이는 생활체육 활동에 있어서 매우 불리한 입장에서 활동을 영위할 수밖에 없는 계층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장애인, 노인, 청소년 등을 뜻한다. 본고는 장애인, 노인, 청소년에 관한 스포츠 복지정책의 현황을 알아보고 앞으로 가야할 스포츠 복지 법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장애인 스포츠를 제외하고는 소외계층을 위한 스포츠복지 관련 규정이 직접적으로는 없다고 할 수 있다. 또 이러한 소외계층을 위한 스포츠 정책 역시 상당히 미비한 상황에 있으므로 소외계층 스포츠의 물적, 인적 인프라의 구축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라 하겠다. 스포츠의 육성과제가 더 이상 전문체육지원을 중심으로 해서는 해결될 수 없다고 하는 인식하에 체육지원정책의 패러다임이 생활체육지원으로 옮겨가고 있는 것은 거의 대부분 나라의 추세이다. 1970년대부터 국제 체육무대에서 주춤하던 일본의‘국제 경기력’이 최근 급격히 향상되고 있는 이유 역시 일본스포츠의 생활체육지원정책이 그 효과를 맛보고 있는 것이라 이해될 수 있다. 우리나라 역시 스포츠 기본법을 제정하여 “소외계층을 위한 국가 시책의 수립”규정을 명문으로 두고 소외계층을 위한 스포츠 정책을 수립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즉, 스포츠 복지정책에 있어 사회 소외계층의 생활체육 참여 보장의 문제는 “스포츠 기본법”을 제정하는 큰 밑그림 위에서 각 소외계층에서 요구되는 정책을 통일적으로 제시하는 것으로 해결되어야 한다. 또한 물적, 인적 인프라 제공으로 인한 스포츠 복지정책의 실현은 각 소외계층의 특성에 맞게 기획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앞서 말한바와 같이 생활체육의 이상은 모든 사람을 위한 스포츠정책이 되는 것이다. 소외계층 역시 적절한 스포츠 복지정책을 통하여 스포츠권을 향유할 수 있게 되길 기대한다.
The ideal of sports for all policy is to provide the sports policy for those who take part in the activity. The policy of sports for all, however, has not concerned with the minority in sports. The minority in sports means those who are not able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y without taking concern or support from the policy. The group include the disabled, the old, and the young in our society. This article studies the present situations of sports welfare policy and tries to present the legal policy on sports welfare in order to guide the advanced trend in that area. Up to now, there have not been any legal regulations related to sports welfare for minority except for sports of the disabled. Furthermore, the legal policy for those classes is quite insufficient though it should be necessary to provide them with an infra-structure in material and human power. Recently, sports support policy has been changed its paradigm into the support of sports for all in almost all countries because they have realized that the sports relied on the support only for professional sports can not be developed. Though it had been slow down for the time being, the advancement of Japan in most international sports games has rapidly progressed since 1970s. The researchers analyze that the main reason of the development is largely due to the policy of support in sports for all. For example, Japan took 16 gold medals in 2004 Athens Olympic Games, while they won only 5 gold medals in 2000 Sydney Olympic Games. The result made the international sports society surprised at that times. The rapid progress relies mostly on the policy of sports for all based on the Sports Development Project enacted by the Department of Education Science in September, 2000. The recent achievements of sports welfare in Korea are the revision of national sports development law, the newly establishment of the administration organization that takes charge in sports especially for the disabled,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Disabled Sports Society as a private organization. From now on, I suggest that we should enact (the tentatively named) Sports Fundamental Law as a regul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policy for minority, and found the sports policy only for them. That is, in sports welfare policy, the problem of minority participation should be solved by providing them with the unified policy. It also requires to base on a large blue print, the enactment of Sports Fundamental Law. The realization of sports welfare policy should be planned to meet the traits of each minority by providing them with an infra-structure in material and human power. In conclusion, the ideal of sports for all should be a policy for all participants in the area. The minority should also have a right in sports area through a reasonable sports welfare policy.
Ⅰ. 머리말
Ⅱ. 생활체육정책 법제 개관
Ⅲ. 장애인 스포츠 법정책 지원의 과제
Ⅳ. 노인 스포츠 법정책 지원의 과제
Ⅴ. 청소년 스포츠 법정책 지원의 과제
Ⅵ.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