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201.jpg
KCI등재 학술저널

학교과정과 학교유형에 따른 청각장애학생 교육 현황과 교사의 교육지원 요구

Current state and needs on the education for Deaf and Hard of Hearing students according to school courses and school types

DOI : 10.24009/ksehli.2021.12.2.002
  • 164

이 연구에서는 학교유형과 학교과정에 따른 청각장애학생 교육 현황과 교사가 인식하는 지원 요구를 분석하기 위하여 교육기관 602개, 교사 5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 현황을 조사한 결과, 청각장애학생의 보정 전 청력은 91dB 이상이 52%로 가장 많았으나, 보정 후 청력은 중등도 이하가 67%로 가장 높았다. 양이 보장구 착용 비율은 58%였으며, 보장구를 어느 쪽 귀에도 착용하지 않은 경우는 6%뿐이었다. 주요 의사소통은 구어 비율이 가장 높았고, 수어를 단독 또는 혼용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37%였다. 청각중복장애학생 비율은 30% 정도로 높았다. 청각장애학교 교사는 학생과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보통’ 또는 ‘많다’라고 응답하였으나, 특수학급이나 통합학급 교사는 ‘거의 없다’라고 응답하였다. 교사의 청각장애학생 교육지원 요구를 조사한 결과, 청각장애학교에서는 수어통역, 청각보조기 대여, 청능훈련과 언어치료 제공 등 의사소통 지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으나, 특수학급이나 통합학급에서는 의사소통 지원이 없는 경우가 과반수를 차지하였다. 또한 특수교육관련서비스 중에서는 청능재활, 언어재활과 같은 치료지원 확대 요구가 많았고, 청각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지원을 받은 경험이 없는 경우가 65%로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청각장애학생의 소리 청취 여건은 과거보다 향상되었으나, 의사소통 지원, 치료 지원, 청각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량 강화 등의 청각장애학생 교육 전문 영역에서 지원이 지금보다 더욱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educational status and educational needs for deaf and hard of hearing(DHH) students. The information was collected using survey for educational institute(n=602)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n=589). Two of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educational status of DHH students; 67% are mild to moderate hearing loss as aided hearing threshold; 58% use hearing devices on both ear, but 6% do not use any of hearing devices; most of the DHH students use spoken language as main communication mode and 37% use signed language only or combined; 30% of deaf students have additional disabilities and, (2) educational needs; tried to provide appropriate communication support considering KSL interpreter, lease hearing devices like FM system, auditory training, and speech and language pathology services at school for the deaf. However, almost half of participants responded there is no considering about communication support at self-contained classroom or mainstreamed classroom; basically, demanded expanding times for aural rehabilitation and speech and language pathology; 65% do not receive any support from DHH education support center. The results suggest providing appropriate communication skills to deaf and hard of hearing students in the mainstreamed educational setting.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고찰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