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여가 체험척도 개발 및 타당화 검증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eisure Experience Scale and Verification of Validation: Focusing on Pine & Gilmore s Experience Economy Theory

  • 49

본 연구는 여가활동 참여에 따른 긍정적인 심리적 효과성을 규명하기 위해 여가체험 측정 요인과 문항을 탐색하여 측정 도구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참여자 모집은 2번에 걸쳐 진행되었다. 연구1에서는 문항검증과 요인도출을 위해 937명이 선정되었고, 연구2에서는 요인의 모형검증과 타당화 검증을 위해 총 405명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는 신뢰도 검증으로 문항특성을 위해 문항 평균과 표준편차, 문항 범위를 구하였고, 신뢰도 검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여가체험과 관련된 측정 요인과 문항에 대한 전문가 자문,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 4개 요인(재미, 예술, 정보, 새로운 경험) 16개 문항이 도출되었다. 또한, 성별에 따라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한 결과 척도의 유효성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여가체험척도를 다른 학문적 영역과 공동으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좀 더 다양한 대상과 다른 사회 심리적 측정 요인들을 사용한 관계성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또한, 다양한 사회 및 문화적 상황에서 결과 비교분석을 통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leisure experience measurement factors and questions and suggest it to verify the psychological effectiveness on leisure activity participants by participating in the activitie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recruited twice. In research 1, 937 participants were selected to verify the questions and derive the factors, and in research 2, 405 participants were selected for model verification and validation of the factors. For the statistical process of this study, reliability verification was used to find the question item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nd the question item range, and reliability te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through the expert s advice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bout the factors and question items of the measurement tool related to the leisure experience, final 4 factors (fun, art, information, new experience) and 16 question items were deduced. In addi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scale was verified by conducting multiple 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order to carry out research about the leisure experience scale suggested in this study jointly with other academic fields, relationship test should be conducted with a wider range of targets and psychosocial measurement factors and a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hrough findings from various social and cultural situations and also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1

Ⅳ. 연구 결과 2

Ⅴ.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