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음악교과 원격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여요인별 비교,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원격 수업에 참여한 경기도 소재 고등학생17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학년의 배경 변인에 따른 콘텐츠, 상호작용, 시스템, 전반적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콘텐츠, 상호작용, 시스템, 전반적 만족도의 모든 요인에서 성별에 따른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은반면 콘텐츠, 상호작용, 시스템, 전반적 만족도의 모든 요인에서 학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발견되었다. 둘째, 원격 수업의 전반적 만족도에 미치는 콘텐츠, 상호작용, 시스템의 영향력을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원격수업에서의 콘텐츠 품질과 시스템 기능이 향상될수록 전반적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mpare, and analyze the satisfa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tance learning in music subject classes, and to draw implication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78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who participated in distance classes. The results of the survey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in all factors of satisfaction-content, interactivity, system, and overall satisfaction were examined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gender and grade. As a resul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ccording to gender in all factors of satisfactioncontent, interactivity, system, and overall satisfaction, where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as found according to grade.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influences of content, interactivity, system on the overall satisfactionon with distance learning, and the results showed that overall satisfaction increased as the content quality and system functionality improved in distance learning.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