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출토 綠釉聯珠紋碗과 동아시아 連珠紋碗의 系譜

Genealogy of the Linked Pearl Patterned Bowls of East Asia and the Green-Glazed Linked Pearl Patterned Bowls Excavated in South Korea

  • 274

연주문완은 중국 북조~수당시기 서역의 영향으로 인해 유행했던 도자이다. 1989년 洛陽漢魏故城 大市遺跡 부근에서 출토된 倣琉璃黑釉陶碗은 기물의 소성과 시문의 독특함으로 주목을 받은 바 있다. 중국을 제외한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연주문완의 출토는 일본의 나가사키 이키시마 소로쿠(雙六)古墳, 아스카(飛鳥) 후지하라(藤原)궁 이시카미(石神)遺跡에서 확인되었다. 그 외 전세 혹은 소장품의 聯珠紋碗이 일본에서 공개된 바 있다. 이들 출토유물은 6~7세기대 중국과 일본의 교류를 언급할 때 자주 제시되는 물질자료이다. 최근 한국에서도 이와 유사한기형인 녹유연주문완이 출토되어 주목을 끌고 있다. 경남 창원 石洞 複合遺跡 삼국시대 석실분 M490에서 녹유연주문완 1점이 출토되었다. 경주 안압지의 녹유도자편 출토 이후 최초의 완형 녹유연주문완이다. 낙양의 漢魏 故城 大市遺跡 출토품은 외기벽 전체에 크기가 서로 다른 聯珠文을 돌리고 있어. 사산조페르시아의 유리기를 모방한 기형으로 추정된다. 중국의 연주문 기원은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확인되고 있는데 서한시기 서역과의 통교가 본격화된 후 실크로드의 교통로가 확보되면서 위진남북조시기 페르시아의 연주문 소재가 중국 경내로유입되었을 것이다. 이 시기 주로 페르시아의 화폐에 사용되었던 연주문은 중앙아시아를 거쳐 돈황, 투루판, 중국 내지로 확산되었으며 이후 연주문은 불교벽화, 직물, 금은기 및 도자 등의 기물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며시기에 따라 변주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본문은 이러한 연주문을 장식 소재로 사용한 중국 도자기물의 고찰을 통해 동아시아 연주문완의 기원과 계보를 검토하고, 아울러 경남 창원 석동 복합유적에서 출토된 녹유연주문완의 원산지와 연대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경주 안압지 출토 녹유도자편의 성격과 연대도 새로이 살펴보고자 한다.

L inked pearl patterned bowls, popular in the Northern, Sui, and Tang Dynasties of China, had been produced as a result of the influence of the Western regions. The Bangyurigi black-glazed bowls excavated in the vicinity of the site of the Han-Wei castle of Luoyang in 1989 gained much attention due to the uniqueness of the firing atmosphere and the decorative patterns. Outside of China, linked pearl patterned bowls have been excavated at Nagasaki Ikishima Soroku Ancient Tomb, Asuka Fujiwara Palace, and the site of Ishigami in Japan. Other collected or inherited examples have also been made open to the public in Japan. The excavated examples are often mentioned when discussing exchange between China and Japan in the 6th to 7th century. Recently in South Korea, a similar excavated example of a linked pearl patterned bowl has gained much attention. Stone Chamber Tomb M490 of Seokdong, Changwon, dating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yielded an example, which was the subject of much interest as it was the first completely intact example to have been discovered since the previous discovery of green-glazed pottery from Anapji Pond in Gyeongju. In the case of the examples from the site of the Han-Wei castle of Luoyang, linked pearls of different sizes were rendered throughout the entire outer surface, believed to be imitating the glass products of Sassanian Persia. The origins of the linked pearl pattern in China dates to a relatively early period. As the traffic route of the Silk Road was secured following the building up of friendly relations with the Western regions, the linked pearl pattern was likely introduced into China during the Wei, Jin, and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The linked pearl pattern, which had generally been used for coinage in Persia at that time, spread to Dunhuang, Turpan, and China through Central Asia. The linked pearl pattern subsequently became varied and was widely used for articles such as Buddhist murals, fabrics, golden/silver products, and pottery. This article aims to review the origin and spread of linked pearl patterned bowls in East Asia by examining Chinese pottery that used the linked pearl pattern for decoration. Through this, this article aims to discuss the country of origin and period of use of the green-glazed linked pearl patterned bowl excavated from Seokdong Ancient Tomb in Changwon, and also to newly examine the nature and period of use of the green-glazed pottery excavated from Anapji in Gyeongju.

I. 서론

II. 고대 증국 연주문완의 기원과 계통

Ill. 한국 및 일본 출토 연주문완의 유입 배경과 성격

IV.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