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보호요인강화프로그램이 방과 후 초기청소년들의 대인관계와 적응유연성의 효과를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문제는 첫째, 보호요인강화프로그램이 방과 후 초기청소년들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보호요인강화 프로그램이 방과 후 초기청소년들의 적응유연성에 미치는효과는 어떠한가? 이다. 연구대상으로는 D광역시 S시에 재학하는 11세에서 13세까지의 방과 후 초기청소년 남.여를 대상으로 실험집단 16명, 통제집단 16명으로 진행되었다. 본 프로그램은 각 회기별 60분씩총12회기로 구성하였으며 보호요인 강화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방과 후 초기 청소년의대인관계와 적응유연성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표본t-검증을실시하였다. 또한 질적 분석은 참여자들에게 각 회기별 소감문을 받았으며 프로그램 실시 하면서 관찰과 교사와의 나누기를 통하여 개인의 특징을 분석 정리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프로그램은 방과 후 초기 청소년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전의 대인관계와 적응유연성의 유의미한변화가 나타나지 않아 동질성이 검증되었다. 둘째, 보호요인 강화프로그램은 실험집단 사전과 사후에서방과 후, 초기 청소년들의 대인관계와 적응유연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긍정적 효과가 입증되었다. 보호요인 강화프로그램 진행 후, 소감문과 관찰을 통하여 또래관계에서의사소통과 문제해결능력 향상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세계적으로 유행하는코로나바이러스(COVD-19 )로 인하여 프로그램 실시에 제한점은 있었지만 초기 청소년들의 보호요인강화프로그램은 방과 후 초기 청소년의 대인관계와 적응유연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검증되었다. 초기 청소년들의 대인 간의 대화와 토론의 방식에도 효과를 미치고 개인의 역경이나 스트레스 상황에도잘 이겨내며 행복한 삶을 지속하여 적응유연성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n personal relationship and resilience of early adolescents after school when a program strengthening protective factors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is applied. Th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the program strengthening protective factors on personal relationship of early adolescents after school?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the program strengthening protective factors on resilience of early adolescents after school? This research attempts to help adolescents to facilitate their personal relationships and adaptation. Accordingly,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early adolescents after school aged 11 to 13 who attend school in city S in city D, who were separated in 16 of experiment group and 16 of control group. This program is composed of 12 sessions, 60 minutes each, and used personal relationship and resilience scale and WIN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omogeneity of the program has been verified as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personal relationship and resilience of both experimenal group and control group before the program. Second, the positive effect of the program has been proven as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personal relationship and resilience of early adolescents after school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t also appeared to have positive effect on communication in peer relationship and problem-solving ability improvement. This study proved that the program strengthening protective factors for early adolescents have positive effects on personal relationship and resilience improvement, affects the way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discussion, and helps early adolescents to overcome personal adversity and continue happy life and finally enhance resilience.
서 론
이론적 배경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