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572.jpg
KCI등재 학술저널

가정폭력 피해자녀의 쉼터 경험이 당시 삶과 쉼터퇴소 후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The Impact of the Shelter Experience of Children of Domestic Violence Victims on Their Lives at the Time and after Leaving Shelters

  • 81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폭력 피해자의 자녀가 쉼터경험이 쉼터 당시의 삶과 쉼터 퇴소 후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 접근의 현실적 한계를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의도적 표집(purposive sampling) 방법을 사용하여 대상자를 모집하였다. 서울에 위치한 1개의 보호시설에 거주하였던 현재 성인이 된 6명의 가정폭력 피해 자녀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2개의 범주(쉼터에서의 생활, 쉼터 퇴소 후 생활)와, 9개의 하위범주, 28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쉼터에서의 생활이 당시 삶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결과는 ‘생명이 위협받는 삶에서 벗어남’, ‘폭력 바로 바라보기’, ‘새로운 삶이 열리는 공간’, ‘인생의 든든한 지원군이 있는 곳’인 4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쉼터 퇴소 후 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는 ‘노력하면 달라진다는 희망’, ‘마음의 치유’, ‘나를 위한 주체적인 삶’, ‘타인과 심리적 거리두기’, ‘지워지지 않는 흔적’인 5가지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가정에 대한 개입 방안에 필요한 기초적인 정보와 자료를 제공하고, 가정폭력 피해자녀들의 외상사건에 대한 회복을 위한 쉼터의 역할에 대한 탐색을 시도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effect on the children of domestic violence victims’ life experience in shelters, both at the time of the shelter experience and after leaving the shelter. Methods: Using the purpose sampling meth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six children who are currently adults who lived in one shelter located in Seoul. Results: Applying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two categories, nine subcategories, and 28 semantic units were derived. Subcategories include “Getting out of life threatened,” “Looking at violence right away,” “A space where a new life opens,” “Where there is a strong supporter of life.”, “Hope that effort will change,” “Healing of the mind,” “Independent life for me,” “Psychological distancing from others,” and “Traces that cannot be erased.”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d basic information and data necessary for intervention measures for families affected by domestic violence and attempted to explore the role of shelters for the recovery of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in trauma case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