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상고, 중고중국어시기 총괄범위부사 ‘皆’, ‘盡’과 현대중국어 ‘都’의 비교 고찰

  • 12

作為使用頻率較高的副詞, “皆”和“都”分別代表了古代漢語和現代漢語中的兩類總括範圍副詞. 這兩類總括範圍副詞之間, 不是簡單的詞彙替代, 而是一種系統的變化. 通過語義指向、焦點、與否定副詞的連用情況的考察, 我們發現“皆”, “盡”, “都”存在一定的差異, 而且得出了“都”對“皆”, “盡”的功能進行了基本結論. 這個演變從深層結構上說, 是各自的語義焦點的差異. “都”之所以能夠取代“皆”, “盡”, 成為現代漢語主要的總括範圍副詞, 是因為它在語義上不僅像“皆”那樣統括的範圍之內的個體在動作行為或者性狀上的一致性, 也不僅像“盡”那樣強調指向對象的無例外, 而是這兩者的綜合.

Ⅰ. 들어가는 말

Ⅱ. 총괄범위부사에 대한 체계 차이

Ⅲ. 총괄범위부사 ‘皆’류의 특징

Ⅳ. ‘皆’, ‘盡’과 ‘都’의 상관관계

Ⅴ. 나오는 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