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중년기 발달장애인의 주간보호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질적 경험들을 탐색하고자 한다. 중년기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운영되는 주간보호서비스 이용인 15명과 개별면담을 실행하였다. 중년기 발달장애인이 경험한 ‘주간보호서비스 이용 전 삶의 경험’은 사회복지서비스의 단절과 이른 은퇴, 무료한 일상, 부모님의 고령화로 인한 버팀목을 상실을 경험하였다. ‘주간보호서비스 이용 경험’은 긍정적인 일상의 변화와 활동 피로감, 이용료 부담과 같은 현실적 한계들을 마주하고 있었다. ‘주간보호서비스의 이용의 의미’는 단순한 서비스 공간을 넘어서 배움의 장소, 삶의 활력소, 삶의 안식처이자 또 다른 집의 의미를 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제시한 사회복지적 함의는 첫째, 주간보호서비스 제공 기관이 확충되어야한다. 둘째, 주간보호서비스 이용의 현실적인 장벽으로 이용료 부담을 경험하고 있어, 이용료 부담이 완회되어야 한다. 셋째, 중년기 발달장애인은 주간보호서비스 통해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고 있었지만, 중년기 발달장애인의 신체적·심리적 특성을 고려한 특화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지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어 추후 중년의 연령에 따른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essential experiences of using day care services for middled aged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sing Giorgi 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users of day care services. The Experience of Life before using services had been disconnected from social welfare services, experienced early retirement, a boring daily life, and loss of support due to their parents aging. The Experience while using day care services was positive daily changes, but faced the fatigue from activities, and economic burden of service fees. The Meaning of use of day care services went beyond simple space for the service and was a place of learning, vitality of life, shelter of life and another house.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were as follows: first, day care services must expand to provide for middle aged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 the service fee should be alleviated because the service fee was the barrier to use. Third, middle-aged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experiencing positive changes through day care services, but there are limitations in identifying whether specialized services are provided considering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verse programs according to the age in the future.
1. 서론
2. 문헌연구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함의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