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미국 국가 기준 가정과교육과정에 포함된 세계시민교육 관련 목표와 내용 탐색: ‘세계’관점과 핵심어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NSFCS 3.0: Focusing on the View of the ‘World’ and the Keywords

  • 94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 국가 기준 가정과교육과정(NSFCS 3.0)의 내용 영역 및 역량과 유네스코 세계시민교육(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D])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NSFCS 3.0 내 ‘세계’ 관점과 내용 영역 및 역량 요소들과 유네스코세계시민교육의 3가지 영역의 9가지 내용 요소의 핵심어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NSFCS 3.0의 문서에 기술된 ‘세계’ 관점과 관련된 단어들을 추출하고 그와 연관된 부분의 내용 기준과 역량요소들과 세계시민교육의 주제와 비교한 후, 이 영역의 핵심어와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NSFCS 3.0과 유네스코 세계시민교육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SFCS 3.0에서는 내용 기준과 역량에서 ‘세계’라는 핵심어를 명시하여 ‘대인관계’, ‘부모됨’ 2개 영역을 제외한 14개영역에서 개인을 세계시민으로 인식하여 개인과 세계와의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기술하였다. 둘째, NSFCS 3.0의 내용 기준 및 역량에서 세계시민교육 영역별 학습 주제와 관련된 핵심어는 가정학의 식생활, 가족생활, 인간발달에서는 세 영역 모두 고르게 제시되어 있었으며, 의생활, 주생활, 소비생활에서는 사회⋅정서적 영역이 제시되지 않았다. 반면, 세계시민교육에서 가장 강조하는 행동적 영역은 모든 가정학 영역에 제시되어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학습의 장은 가정과교육이 추구하는 삶의 영역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NSFCS 3.0과 세계시민교육을 관련지어 이해하고, 우리나라 차기 가정과교육과정의 개정에 세계시민교육의 내용요소를 어떻게 포함할 수 있는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 areas and competencies of the Family & Consumer Sciences National Standards(NSFCS 3.0) of the U. S. and UNESC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D). For this purpose, the global perspective, content areas and competencies in NSFCS 3.0 and the keywords related to the three areas of content areas of UNESCO GCED were analyzed. Specifically, the content standards and competencies related to the words ‘world’ or ‘global’ were extracted and their relationship to t he GCED topics a nd k eywords were a nalyz 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NSFCS 3.0 described the direct correlation between individuals and the world by recognizing individuals as global citizens in 14 areas except for ‘interpersonal relations’ and ‘parenting’, specifically using the keyword of ‘world’ in content standards and competencies. Second, in the content standards and competencies of NSFCS 3.0, the keywords related to the topics of GCED areas were presented evenly in the three areas of FCS, dietary habits, family life, and human development. The social and emotional areas were not presented in clothing, housing, and consumer life. On the other hand, the behavioral area, which is emphasized most in the GCED, is presented in all the FCS content areas. From this, it is apparent that the learning field for GCED may be considered as the area of life pursued by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foundational bases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SFCS 3.0 and the GCED, and implications as to how to implement the content of the GCED in the next revision of the national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Korea.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