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청소년의 차별 가해 예측요인: 학업성취와 차별 가해 경험 간 관계를 중심으로

Predictors of Adolescents’ Discriminatory Behaviors in South Korea: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Discriminatory Behaviors

  • 165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수집한 ‘2018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청소년의 차별 가해 경험 예측요인을 살펴보고, 그 연장선상에서 학업성취와 차별 가해 경험 간 관계를 심층적으로 고찰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차별 가해 여부 및 그 빈도와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 요인들을 동시에 파악하기에 적합한 영과잉 음이항 모형(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로짓모형(logit model) 분석결과는 청소년의 학교급, 부모 학대, 부모 방임, 차별 피해 경험, 인권 감수성, 스트레스, 학업성취 등이 누군가를 한 번도 차별하지 않을 개연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편 가산분석모형(count model) 분석결과에 따르면 성별, 학교급, 부모의 자녀 존중, 교사 학대, 또래 폭력, 차별 피해 경험, 인권 감수성, 스트레스, 학업성취 등이 차별 가해 빈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심층분석을 통해 학업성취와 차별 가해 경험 간 관계가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본 결과, 누군가를 한 번도 차별하지 않을 개연성은 학업성취 수준이 높을수록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울러 반복적으로 차별 가해를 하는 행태는 주로 학업성취 수준이 높은 학생들의 특성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시사점을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Drawing on ‘2018 Children and Youth Human Rights Survey’ data colle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NYPI), we explored the factors that are closely associated with adolescents experiences of acting in a discriminatory manner, and in the process delved in-depth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discriminatory behaviors. To this end,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ZINB), which is suitable for investigating simultaneously factors related to the likelihood of perpetrating discriminatory behaviors and frequency of such behaviors. Results of logit analysis showed that adolescents school level, parental abuse, parental neglect,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human rights sensitivity,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closely related to the likelihood of perpetrating discriminatory behaviors. A subsequent count model analysis exhibited that gender, school level, parental respect, teacher abuse, peer violence,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human rights sensitivity,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had much to do with the frequency of discriminatory behaviors. Specifically, a further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discriminatory behaviors revealed that the likelihood of never discriminating against other students was found to decrease linearly as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increased. It also turned out that repeated discriminatory behavior was mainly characteristic of students with high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ults, policy implications are briefly present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