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코로나19 이후 중학교 학생들의 학교 교육 경험 탐색 -숲속중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fter COVID-19: a case study of supsok middle school

  • 213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학생들이 어떻게 학교 교육을 경험하였는지 탐색하여 향후 학교 교육의 방향과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시 숲속중학교(가칭)를 중심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코로나19 이후 학생들은 교사로부터 “소환”되어 돌봄 교실에 나오면서 원격수업에 참여할 수 있었다. 이들은 대부분 코로나19 이전부터 배움에 어려움을 겪었던 학생들로 코로나19 이후 돌봄 교실에 참여하며 안전한 공간인 학교에서 선생님의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 친구들과 함께하는 “진짜수업”은 아니지만 적어도 원격수업을 통해 배움을 이어갈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진짜수업과 원격수업 사이에서 “실력의 격차”를 스스로 알게 되어 두려움을 느끼기도 하였다. 이들은 돌봄을 활용하여 학교에 나가면서 자신을 관리하고 배움을 이어갔다. 셋째, 전환기를 보내고 있는 1학년 학생들은 “존버”하며 원격수업을 견뎌내고 있었다. 그러다가 교사로부터 소환되어 학교에 가면서 학생이 된 것 같은 느낌을 받기도 하였다. 그리고 온라인을 통해 친구들의 존재를 알게 되었지만 함께 배우는 동료로 인식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등교 이후, 친구들을 함께 배우는 관계로 확인하는 경험을 하였다. 이렇게 전환기 학생들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학교 생활에서의 차이를 느끼며 학교에 대한 의미를 찾아 나갔다. 본 연구는 위 결과를 토대로 배움은 돌봄과의 유기적 관계 속에서 적극적으로 이어져야 함을 논의하였다. 또한, 코로나19와 같은 위기 속에서 배움과 돌봄은 모든 학생의 기본 권리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이를 중심으로 학교 교육의 역할이 논의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and role of school education by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fter COVID-19.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We interviewd 11 students of Seoul Forest Middle School (pseudonyms) and observed the classes, teacher’s learning communit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COVID-19, teachers “called” students to come to school so that they can be cared and participate in distance learning. Students who were called to come to schools had difficulties in learning even before COVID-19. Students who were called to school participated in distance learning in a safe place and continued learning. Second, students felt fear in between what they call “real class(learning before COVID-19)” and distance learning. This is because they sensed the gap of capabilities among students. Those students automously choose to come to school to continue learning based on teachers’ care. Third, students in transition year endured distance learning by ‘bearing up’. However students who were called to come to school started to feel that ‘I am now a middle school student’. Moreover, although they new the existence of students through distance learning, they rarely felt that they were learning together. However, since they started to come to school they expereinced that they can raise their hands and ask questions with friends. Likely, students in transition year were finding meanings of schools in both online and offlin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 suggested that learning should be understood in a relationship with caring. In addition, we maintained that the learning and caring should be understood as the basic rights of all students when discussing the role of schooling after COVID-19.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