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코퍼스를 통한 교과서 학습활동의 통시적 연구 방안 모색

Searching for a diachronic research method for textbook learning activities through the corpus: Focusing on high school writing textbooks

  • 190
159728.jpg

이 연구는 교과서 학습활동에 대한 통시적 연구에 있어서 코퍼스 기반 연구 방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보다 객관적인 교과서 연구 방법을 제언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제4차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작문 교과서 10종의 학습활동을 대상으로 코퍼스를 구축하였으며, 이중 학습 내용을 비교 분석할 수 있도록 명사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 방법으로는 코퍼스 기술통계, 콘코던스 라인 및 콘코던스 플롯 분석, 어휘 다발 목록 추출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코퍼스 기반 교과서 학습활동의 통시적 연구는 이상의 코퍼스 연구 방법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교육과정의 변천에 따라 새로 나타난 어휘와 나타나지 않게 된 어휘를 추출할 수 있었으며, 대상 어휘의 교과서 출현 양상을 토대로 해당 교육과정의 특성과 교과서 구성상의 특이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코퍼스를 활용한 학습활동 연구 방법은 보다 객관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하고, 연구자가 포착하지 못했던 어휘의 변화 및 활용 양상을 살필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국어과 교재 연구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가능성을 직접적으로 살피고,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a corpus-based research method in the diachronic study of textbook learning activities. To proceed with the research, the researcher established the corpus of high school writing textbooks learning activities with the 4th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changes in the corpus between the curriculum were examin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determined that the diachronic study of corpus-based textbook learning activities could apply word lists, descriptive statistics, concordance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method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curriculum, new vocabulary and vocabulary that did not appear could be extracted, and based on the appearance aspect of the target vocabular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and its composition could be identified. The study method of learning activities using Corpus will be able to help study Korean language and textbooks in the future in that it can produce more objective research results and examine aspects of vocabulary changes and utilization that researchers have not detect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directly examined and verified its potential.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검토

Ⅱ.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