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음악과의 대중음악교육(과정기준 개발)에 관한 교육구성원의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educational members regarding popular music education (development of course standards) in the Department of Music

DOI : 10.15815/kjcaes.2021.16.4.69
  • 114

교육과정은 사회, 학습자, 교과 등의 요구에 따라 변화를 요구받는다. 교육부는 지난 4월 2022년 국기 수준 교육과정 개정 계획을 밝혔는데, 이때 가장 먼저 추진할 것은 현행 교육과정 및 교과내용에 대한 적절성 분석이다. 현행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이해와 보다 나은 교육과정에 대한 창의적 개발로 교육과정은 발전한다. 본 연구는 ‘초⋅중등 대중음악 교육과정기준 개발을 위한 의견 조사’에서 대중음악교육의 확대 강화에 대한 관련 집단의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집단은 성별, 소속, 가장 친숙한 분야, 대중음악교육과의 친소관계에 따라 ‘교육제도, 교육목표, 교육과정 문서, 교육체계, 교과서, 교수학습방법, 교육시설과 설비, 교육평가, 교원양성과 연수, 학교수준 교육과정 계획, 학생과 학부모의 요구 수용’등의 항목에서 인식차이가 분석되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속에 따른 분석은 모든 항목에서 ‘대학교수⋅연구원’ 집단의 요구가 평균값에서 가장 높았다. 둘째, 성별에 따른 분석은 대중음악교육의 확대 강화에 여성 보다 남성의 평균이 모든 항목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음악계 내’의 평균값은‘음악 외 예술계 집단’보다 평균값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대중음악교육계 내 집단별 분석은 모든 항목에서 ‘강의 교수자’의 평균값이 여타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대중음악 교육과정기준 개발에서 그 확대 강화 방안에 대한 집단 간 인식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고려할 때 대중음악 교육과정기준은 유관 집단의 요구를 존중하는 방향에서 개발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Regarding curriculum revision 2022 that will be facilitated in the ongoing curriculum, the Ministry of Education made clear to facilitate it, in the last April. In this context, a propriety analysis research about the ongoing curriculum and subject contents for following curriculum revision needs to be conducted. This research conducted an analysis of difference of awareness in the expansion and reinforcement of popular music education, based on the outcome about necessity of the introduction of criteria of popular music curriculum confirmed in ‘A Survey for the Introduction of Criteria of Popular Music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For it, this study carried out an analysis of difference in it, by gender, belonged organization, most familiar field, and relations with popular music education, targeting those research participan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first place, an analysis by belonged organization shows that the group of ‘university professors and researchers’ accounted for the highest rate, on the average, in every category. By contrast, the group of ‘other(including school parents)’ was in the lowest rate, on the average. In the second place, an analysis by gender shows that males accounted for the higher rate, on the average, regarding the expansion and reinforcement of popular music education, compared to females. In the third place, an analysis of most familiar field shows that ‘artistic worlds outside music’ reached the high rate, on the average. For standard deviation, ‘others (general people)’ took up with a relatively high rate, compared to other groups. Lastly, an analysis of relations with popular music education shows that instructors accounted for a high rate, in every category, compared to other groups, which is an indicator proving the awareness in the expansion and reinforcement of popular music.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stated above, it is identified that there is difference of awareness in the expansion and reinforcement of popular music to be considered in the course of developing music curriculum.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대상 및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요약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