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개신교 종립학교에서의 종교학 교과서와 종교평화적 성찰

A Critical Study on “Religious Studies” Textbook of Protestant School in the Perspective of Religious Peace

  • 11

본 논문은 개신교 종립학교에서 사용되는 종교학 교과서를 종교평화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성찰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현재 사용되는 종교학 교과서는 2015 개정 종교학 교육과정 에 따라 개발 및 승인된 것으로서, 다종교 및 다문화의 배경에서 종교평화를 위한 성찰적 안목과 태도를 키우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종교평화의 의미를 종교적인 문제로 발생하는 갈등(conflict)과 상처(trauma)를 줄이고(-), 동시에 종교 간의 평등(equality) 과 조화(harmony)의 폭은 넓혀나가는(+) 일련의 과정 으로 정의하면서, 이 개념에 근거하여 핵심적인 종교평화역량을제시하였다. 그리고 그 토대 위에서 본 논문은 세 가지의 주제를 탐색하였다. 첫째, 종교평화역량을 준거로 하여 개신교 종립학교에서 사용되는 세 종류의 종교학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통해 『종교와삶』(2018)과 『종교와생활』(2018)은 종교평화보다는 기독교적 신앙교육에 관심이 크고, 대신에 『종교학』(2018)은 2015 개정 종교학 교육과정에 따라 종교평화의 취지를 잘 살려내고 있었다. 둘째, 종교학 교과서가 신앙교육적 관심 유형과 종교학적 관심 유형으로 명확히 구분된 배경에는 어떠한 권력 관계 및 사회적 이슈가 잠재되었는지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종교 교과서를 배경으로 교회권력과 학문-시민권력이 여전히 갈등하고 있으며, 특히 개신교인에 의한 훼불사건 같은 종교 간의 갈등이 종교평화의 이슈를 크게 부각시키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셋째, 앞의 연구성과를 토대로 하여 본 논문은 향후 개정될 2015 재개정 종교학 교육과정 의 방향을 비판적으로 상상하였다. 그것은 종교학 교육과정의 명칭이 종교평화 교육과정으로 수정될 필요가 있다는 점, 종교학 교과서는 종립학교용 교과서와 국공립학교용 교과서로 구분되어개발될 필요가 있다는 점, 그리고 자유발생제 교과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ritically assess the “Religious Studies” textbook of Protestant school in the perspective of religious peace. The textbook, developed and approved under ‘2015 Revised Religious Studies Curriculum’, aims to develop a reflective insight and appropriate attitude for religious peace in the multi-religion and multi-cultural context. Therefore, this article defines religious peace as “a process of reducing conflicts and trauma from religious issues and expanding equality and harmony among religions at the same time” and suggests core concepts of religious peace. Based on those concepts, this article explores three different areas of interest. First, this article analyzes three different textbooks used in Protestant School. The analysis recategorizes “Religion and Life” (2018) and “Religion and Livelihood” (2018) as an education for Christian faith rather than religious peace, but regards “Religious Studies” (2018) as an exemplar of religious peace education. Second, this article discovers which social issues and power dynamics are latent in the distinguishment of religious textbooks into faith educational type and religious studies type. In fact, it uncovers the ongoing conflict between the power of ecclesial ministry and the power of civil�academia and finds out inter-religious conflicts like a vandalism of Buddha statue by Christian emphasizes the issue of religious peace. Last, it suggests a future direction of ‘2015 Revised Religious Studies Curriculum’ based on the findings mentioned above. More specifically, it calls for the need to modify the name of religious studies curriculum into ‘religious peace’ curriculum, to develop a separate textbooks for Protestant School and National School on the subject of religious studies, and to create free agent textbooks.

I. 서론

II. 2015 개정 종교학 교육과정에 따른 인정 교과서의 현황과 특성

III. 2015 개정 종교학 교육과정 인정 교과서의 종교평화적 분석

IV. 2015 개정 종교학 교육과정 이전 종교 교과서에 대한 종교평화적 기억

V. 결론을 대신하여: 미래의 종교학 교과서를 위한 종교평화적 상상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