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교회의 분리 및 단절 극복을 위한 코이노니아 교육목회

Koinonia Educational Ministry as a Pertinent Corrective to Disintegration and Fragmentation Inherent in the Korean Church

  • 13

2020년의 한국사회는 사상 초유의 코로나-19 위기와 함께 새로운 전환기를 맞고 있다. 향후 한국사회는 근대를 지나탈근대적 특성이 점차 전 영역에 걸쳐 확산되어 갈 것이 예상된다. 과거처럼 집단성과 획일성을 추구하면 그것은 과거지향적 전근대주의로의 회귀가 될 것이다. 그렇다고 개별성과 다원성만을 추구한다면 그것은 일종의 개인주의, 상대주의라는 또 다른 극단에 빠지고 말 것이다. 전근대적 획일주의나 탈근대적 상대주의라는 양 극단은 결코 한국사회의 대안이 될 수 없다. 21세기 한국사회는 개인과 함께 공동체, 공동체와 함께 개인의 중요성을 존중하는 보다 포괄적인 제 3 의 대안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제 3의 대안을 향한 신학적, 기독교교육학적 탐구를 시도한다. 이러한 제 3의대안적 방향설정을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성찰을 시도하였다. 첫째, 한국교회의 폭발적 성장을 가능케 했던 한국교회 특유의 유산에 대한 성찰; 둘째, 일반 전문인과 구별되는 목회자만의 전문성 및 정체성에 대한 성찰; 셋째, 세속문화와 기독교의 관계성에 대한 유형론적 고찰; 넷째, 교육목회의 이론적 토대가 되는 기독교교육의 특성 및 방법론에 대한 성찰; 다섯째, 올바른 목회와 교육에 장애가 되는 주요 문제들에 대한 분석적 성찰; 여섯째, 한국교회에 나타나는 분리와 단절의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서의 코이노니아 교육목회 를 제시함으로써 논의를 마무리하였다.

Korean society in 2020 is facing a new turning point with the unprecedented COVID-19 crisis. In the future, Korean society is expected to gradually spread its postmodern characteristics across all areas. Pursuing collectivity and uniformity as in the past will make it a return to past-oriented pre-modernism. On the other hand, if one chooses either individuality or plurality, it will fall into another extreme of individualism and relativism. These two extremes of pre-modern uniformism and postmodern pluralism can never be an alternative to Korean society. Korean society in the 21st century needs a more comprehensive third alternative that respects the importance of individuals along with communities.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ological and educational inquiry towards this third alternative. For this third alternative, this study attempted to reflect on the followings. First, reflections on the heritage of the Korean Church that enabled its explosive growth; second, reflections on pastoral expertise and identity distinct from ordinary professionals; third, typological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cular culture and Christianity; fourth, reflections on the characteristics and methodologies of Christian education, which are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educational ministry; fifth, analytical reflection on major problems that hinder educational ministry of the Korean Church; Finally, this inquiry was completed by presenting a ‘Koinonia Educational Model’ as an alternative for the problem of disintegrationa and fragmentation residing in the Korean Church.

1. 들어가는 말

2. 한국교회 전통과 영적 유산: 관계적 조망

3. 한국 사회를 위한 목회자의 전문성 및 정체성

4. 문화, 종교, 기독교의 관계성

5. 기독교교육학의 특성 및 방법론

6. 교육목회 정의 및 분리-단절의 문제

7. 통전적 기독교교육에 입각한 코이노니아 교육목회

8. 나가는 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