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그리스도교 교양』Ⅰ-Ⅲ권에 전개된 언어적 모호성과 사랑

The Linguistic Ambiguity and Love in De doctrina christiana Ⅰ-Ⅲ

  • 5

아우구스티누스는 『교사론』과 『삼위일체론』에서 인간 언어의 한계를 논함으로써 신적 조명 이나 신적 말씀 을 통한 언어 이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렇다면 아우구스티누스는 인간의 언어 기호에 대해 회의주의적 입장을 취하는 것인가? 본 논문은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그리스도교 교양』Ⅰ-Ⅲ권을 탐색할 것이다. 『그리스도교 교양』은 언어적 한계에 대해 논의함에도 불구하고, 언어 이론을 성경 해석이라는 실제적인 연구의 지평에서 탐구한다는 점에서 두 저작과 구분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그리스도교 교양』에서 언어 이론의 목표를 성경의 올바른 해석과 성경 이면의 신적 실재에 대한 탐구에 둠으로써 회의주의적 언어 이해에 경도되지 않는다. 그는 『그리스도교 교양』Ⅰ-Ⅲ권에서 먼저 기호들의 종류와 그 의미를 설명하고, 다음으로 각 기호의 오류를 해결할 수 있는 규칙적인 방법들을 제시한다. 그 중 모호한 전의적(轉義的) 기호는 해석에 있어 오류의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서 아우구스티누스가 언어의 한계로 지칭하는 것과 다름이 없다. 아우구스티누스는 모호한 전의적 기호의 오류를 피하기 위해서는 성경의 의도인 사랑의 견지와 욕망의 배제를 기준점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더불어 그는 언어적 모호성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에게 필요한 실제적 언어 훈련을 제시한다.

Augustine emphasized communication through illuminatio Divina or logos Divina by discussing the limitations of human language in De magistro and De Trinitate. So Augustine takes the same sceptical stance as the Academy on human language tastes?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paper will explore De doctrina christiana I-III. De doctrina christiana is distinguished from the two works in that despite discussing linguistic limitations, language theory is explored in the practical research horizon of biblical interpretation. He is not misled by sceptical understanding of language by placing the goal of language theory in De doctrina christiana in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the Bible and the exploration of the divine reality behind the Bible. He first explains the types and meanings of signum in the I-III volume of De doctrina christiana, and then presents regular ways to resolve the errors of each signum. Among them, ambigua signa translata is the most likely error in interpretation, no different from what Augustine refers to as the limitation of language. Augustinus argues that in order to avoid the fallacy of ambigua signa translata, the Bible s intention, the point of view of caritas and the exclusion of cupiditas, should be taken as a reference point. In addition, he presents the practical language training needed by researchers to solve linguistic ambiguity.

Ⅰ. 서론

Ⅱ. 아우구스티누스 언어 이론의 전제

Ⅲ. 실재의 전달자로서 기호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의 분석

Ⅳ. 모호한 전의적 기호의 문제와 해결책으로서 사랑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