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가톨릭 유치원 교사들의 가톨릭 종교교육에 대한 이해와 실천

A Study of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Catholic Kindergarten Teacher about Catholic Religious Education

  • 8

본 연구는 가톨릭 유치원에서 행해지는 가톨릭 종교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유치원에서 가톨릭 종교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교사들을 지원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점이 무엇인가에 대한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문제는 첫째, 유아 종교교육의 가능성과 교육실천에 대해 어떤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가? 둘째, 우리나라 가톨릭 유치원의 종교교육 현황은 어떠한가? 셋째, 가톨릭 유치원 교사들의 종교교육에 대한 이해와 실천은 어떠한가? 이를 위해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종교교육의 가능성과 교육실천에 대한 논의는 마리아 몬테소리의 영적인 존재로서의 어린이 이해, 로널드 골드만의 종교 사고적 발달이론, 토마스 그룸의 ‘삶에서 신앙으로, 다시 삶으로’ 접근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유치원 종교교육 현황은 현직 가톨릭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현재 가톨릭 유치원에서의 종교교육은 ‘누리과정 도입으로 인한 종교교육 시간 부족’, ‘종교교육에 있어서 비신자 부모님과의 잠재적 갈등의 소지가 있음’, ‘가톨릭 종교교육 교재 및 참고 교안의 부족’, ‘관련 교사교육의 부족’ 등과 같이 부정적인 측면이 거론되었다. 동시에 긍정적 측면은 ‘유아들이 비형식적 교육(종교적 분위기)을 통해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다.’, ‘학부모님과 입학 시기부터 종교교육에 대한 동의와 이해를 구하는 것의 중요성이 인식되었다’, ‘가톨릭 종교교육이 인성교육 측면에서 누리과정과 조화를 이룬다.’ 등이었다. 연구의 제안점은 첫째, 가톨릭 유아 종교교육과정에 있어서 참고가 될 만한 다양한 모델이 필요하다. 둘째, 국가 교육과정과 가톨릭 종교교육의 인성교육 측면에서의 연계가 필요하다. 셋째, 교사들의 종교교육 실천을 지원하는 교사교육 과정이 필요하다. 넷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종교교육은 환경의 영향을 받으므로 종교적 분위기 형성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Catholic religious education in Catholic kindergartens and suggest what the teachers should be supported by. Accordingly,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 First, what is under discussion on the possibilities and practices of childhood religious education? Second, what is the current state of childhood religious education at Catholic kindergartens in Seoul diocese, Korea? Third, how do the teachers in Catholic kindergartens understand and practice childhood religious education? I referred the possibilities and practices of religious education for children to the theories of Maria Montessori, Ronald Goldman and Thomas Groome. Based on these theoretical foundations, I looked into the current state of Catholic childhood religious education and had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on how they understand and practice Catholic childhood religious education. The questions for interviews are categorized as four main parts: ‘personal characters’, ‘attitudes toward faith’, ‘the current state of religious education in kindergartens’, and ‘personal opinions on religious education’. In conclusion, the teachers’ opinions on the current state of Catholic childhood religious education are divided: in the negative point of view, teachers refer to ‘lack of time in religious education courses’, ‘discord between teachers and non-believing parents’, ‘insufficiency of textbooks and reference books for teachers’, and ‘short of religious training for teachers’. On the other hand, in the positive point of view, teachers point out ‘good influence on children through informal education and religious atmosphere’, ‘parent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religious education since childhood’, ‘religious education in harmony with fostering good human nature’, and ‘teachers’ participation in various activities at parish helpful as teachers’. My suggestions are following.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variety of educational models for religious education curriculums. Second, it is necessary to make harmony between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and Catholic religious educ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operate a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support teachers. Lastly, because religious education is likely to affected by educational environments, it is important to build religious atmosphere in the Catholic kindergartens.

Ⅰ. 서론

Ⅱ. 유아 종교교육론 고찰

Ⅲ. 가톨릭 유치원 종교교육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실천 현황

Ⅳ. 요약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