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생의 마음챙김과 우울의 관계에서 영성과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Spirituality and Self-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 29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마음챙김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영성과 자기수용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방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538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및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영성에서 우울로 가는 경로를 제외한 모든 경로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검증에서는 마음챙김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단순매개효과가 유의미하였으며, 마음챙김이 영성과 자기수용을 순차적으로 거쳐 우울 감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이중매개효과 역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인들 간의 이러한 구조적 관계가 남녀 대학생 집단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다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본 연구에서 밝혀진 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가 남녀 대학생 모두에게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pirituality and self- 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The self-report survey data of 538 college students from a local university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e analyses indicated that all the paths to depression were significant except for the one from spirituality to depression. Between mindfulness and depression, self-acceptance served as a mediator. Also, the dual-mediated effect of spirituality and self-acceptance was significant. This study additionally examined gender differences in the hypothetical path model using multi-group analysis. It was shown that this relationship structure was present both in male and in female students.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