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인성교육으로서의 종교교육

Religious Education for Moral Character Development

  • 25

현대교육에서 새롭게 부각된 과제 가운데 하나가 인성교육이다. 현대의 교육이 취업을 위한 도구적인 교육에 치중하면서 인성교육의 역할을 상실한데 그 원인이 있다. 인성교육은 사회가 요구하는 바람직한 인격체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종교교육은 인성교육을 기본으로 삼고 있다. 따라서 종교교육은 실종된 인성교육을 회복하기 위한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다만 인성교육으로서의 종교교육은 선교나 교리교육의 차원이 아니라 보편적 인성함양의 차원에서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종교문화를 구성하는 보편적 요소가 갖는 교육적 측면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특별히 종교현상학적 관점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서사, 수행, 의례, 윤리, 사회에 내재되어있는 인성교육의 의미를 살펴보고 있다. 여기서 이미 시행되어온 전통적인 인성교육의 의미를 되짚어보고,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할 단초를 찾는데 의미를 두고 있다. 우리나라는 종교가 다양하게 발달하고 종교적 성향이 강한 문화적 특징을 갖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종교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의 회복은 이 사회가 안고 있는 내부적인 갈등을 해결하고 새로운 전망을 갖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ne of the important responsibilities of modern education should be on the moral character development education of the young people. But today’s education system is mostly utilized as a tool for employment purposes, and has lost its main role in the character building process. The objective of the Moral Character Education is to cultivate the desirable personality needed for creating and maintaining a stable society. Traditionally, religious teachings are focused on moral character building process. Therefore, religious education could be used as competent modus in moral character development education. However, for moral character development through religious education, one should be very careful that the teachings should not get focused mainly on mission or purely religious perspectives but on the universal humanistic characteristics. This paper focuses on the study of the educational aspects of the universal elements inherent in the religious culture. Especially, the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significance of moral character education from a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through religious narrative, self-discipline, ritual, and ethics, which are intrinsic part of the society. It would be meaningful to retrace the persisting and prevailing connotation of traditional moral character education in finding the root for solving the problems of contemporary society. The development of religion in Korea has a unique cultural characteristic with strong religious tendencies. Therefore, it seems viable that the reinstatement of moral character development education through religious education in Korea would contribute in solving the internal social conflicts and providing a new vision to the society.

Ⅰ. 들어가는 글

Ⅱ. 본론

Ⅲ. 나가는 글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