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신라시대 불교 강경(講經)의 교육적 의의

Educational Meaning of Buddhist Jiangjing(講經) in Silla Era

  • 13

이 논문은 신라 시대의 불교의 강경 활동 및 강경 의례에 대한 기록을 몇 가지 관점으로 분류하여 검토하고, 그 속에 담긴 교육적 의미를 찾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즉, 강경 활동과 의례는 강경의 목적, 강경의 대상, 강경의 장소, 강경의 방식과 형태, 강경의 시기, 강경(회)의 주최자 등에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그에 따라 강경의 개념도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는 고승개인에 의한 강경(Ⅱ장)과 국가에 의한 강경인 백좌강회(Ⅲ장), 그리고 사원 법회에서의 강경(Ⅳ 장) 등 세 가지로 나누어 고찰해보았다. ‘고승 개인에 의한 강경’에서는 원광을 비롯하여 자장, 원효, 의상, 진표, 승전의 강경 활동을 고찰하였다. 강경 활동에 참여한 고승 가운데 화엄종 고승들의 강경 활동 비율이 높았으며, 당나라에 유학하고 돌아온 고승들의 비율이 높았다. 또 ‘국가에의한 강경 법회’는 국가나 왕의 안녕과 건강을 기원하는 목적으로 거행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교육의 관점에서 보면 이것은 국왕을 교육하는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 ‘사원에서의 법회’에서는 적산법화원의 사례를 위주로 고찰하였다. 이것은 국가 중심의 강경 활동에서 탈피하여 사원이주도하고, 지역민이 참여하는 형태의 강경 법회로서 일반 서민들을 교육한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 강경 법회에서 이루어지는 강경 의례는 경전을 상징화한 텍스트이기 때문에, 강경 의례에 참여하는 사람은 글로써 배우는 것이 아니라 몸으로 경전을 배우게 된다.

This paper classifies and examines educational meaning of Buddhist Jiangjing(講經) with different perspectives from activity records. Jiangjing could be classified by its object, subject, place, method, form, time and the host. Therefore the concept of Jiangjing could be changed due to its classification. This paper divide Jiangjing into three different classes - Personal Jiangjing hosted by Venerable monk (Chapter Ⅱ), National Jiangjing (Chapter Ⅲ), and Jiangjing located in Temple (Chapter IV). ‘Jiangjing by Venerable monk’ considered Wonkwang(圓光), Jajang(慈藏), Wonhyo(元曉), Eosang(義湘), Jinpyo(眞表), and Seungjeon(勝詮)’s Jiangjing activities. Hosting Venerable monk were mostly from Hwaeomjong(華嚴宗) and majority of them studied at Tang Dynasty. Also, national Jiangjing was hosted for wellness for the king and national peace. In the educational point of view, this could be educational session for the king. ‘Jiangjing in temple’ mostly emphasizes Juksanbubhwawon Temple(赤山法花院) cases. It has significant meaning of civil education that led by Temple, participated with local civilians. Since Jiangjing ceremony is symbolized text of Buddhist scriptures, participants could learn the scripture with their hole body not the head.

Ⅰ. 머리말

Ⅱ. 고승에 의한 강경 활동

Ⅲ. 국가에 의한 강경 법회

Ⅳ. 적산법화원의 강경 의례

Ⅴ. 맺음말: 강경 활동과 강경의례의 교육적 의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