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다 종교사회에서 학교종교교육의 목적설정 및 교수학습방법에 관한 연구

Establishing Purpose of Religious Studies in Multi-Religious Society and Study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 14

국가 주도의 종교교육과정은 제4차 교육과정(문교부 고시 제442호, 1981.12.31.)이 시행되면서종교 과목이 자유선택교과로서 교육과정 편제에 들어옴으로써 본격화 되었다. 그 후 제 5, 6, 7차교육과정을 거쳐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학교종교교육은 현재 교육당국에서 발전시켜온 ‘보편적 종교 지식’ 중심의 종교문화교육과 각 종교 교단 및 교파 별로 실행되고 있는 ‘신앙’ 중심의 종교교육 형태가 불완전한 공존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종교교육에 대한 하나의 통일된 목적설정의 어려움은 종교교육 자체의 성격을 모호하게 만들고 있다. 본 논문에서 연구자는종교교육 목적 설정의 모호성의 원인을 분석하고 향후 학교종교교육의 목적이 종교적 다원사회의현실인식 위에서 종래의 ‘지식’과 ‘신앙’의 편향적 강조가 아닌 상호보완적 관계를 지향해야 함을서술하였다. 이러한 의미에서 최근 종교교과와 관련된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의 ‘성찰적 종교교육’ 과 다문화⋅다종교 사회에 발맞춘 교육내용의 편입은 크게 고무적이다. 그러나 여전히 종교교육목적설정의 모호성은 극복되어야 할 과제로 남는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첫째, 종교교육과정의 목적 변천을 개괄적으로 탐구하였다. 둘째,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의 종교교육목적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셋째, 종래의 학교종교교육의 목적을 두 가지 관점, 즉 ‘가치중립성’과 ‘종교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국가 주도의‘보편적’ ‘가치중립적’ 종교지식의 추구는 종교 심연의 세계에 대한 국가의 규범적 일반화의 오류를 범하기 쉽다. 다른 한편 종립학교 주도의 선교적 열망에 기초한 신앙교육은 종립학교의 정체성의 보장 측면에서는 긍정적이나 종교적 다원상황에서 이웃종교에 대한 배움의 필요성에 직면해있다. 오늘날 종립학교에서 ‘신앙적 정체성’의 혼란을 이유로 종교일반에 대한 교육을 회피하는경향을 띠고 있으나 오히려 ‘신앙적 정체성’은 이웃종교의 거울을 통해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혔다. 넷째, 종교교육의 목적의 모호성을 극복하기 위해 대화적 종교교육의 실천과 더불어 상호종교교육(간종교교육)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Religious education became a part of the regular school curriculum as elective courses upon enforcement of the Fourth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ment no.442, Dec. 31, 1981). Since then, through the implementations of the 5th, 6th and 7th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religious education was progressed by the ministry where its two incomplete forms, the religious and cultural education of ‘general religious knowledge’ and an education based on ‘faith’ by each religious order and denomination, coexist. The difficulty in establishing one unified purpose of religious education is also obscuring the attributes of religious education itself. In the paper, this author analyzed the causes of this obscurity and asserted that, in religious education, the teachings should embrace this religiously plural society and not emphasize on the ‘knowledge’ and ‘faith’ separately but the together. Having established that, the incorporation of the ‘reflective religious education’ curriculum in pace with our multi-cultural and religious society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encouraging; but the obscurity of the purpose of the education is still a task to be solved. This paper is composed as follows : 1. The history of the changing purposes of religious education was generally explored, 2.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ritically considered the purpose of religious education, and 3. Conventional purposes of religious education were analyzed in two standpoints, value neutrality and religiosity. First, the pursuit of the ‘general’ ‘value neutral’ religious knowledge is prone to the error of normative generalization with respect to the world of religious abyss. On the other hand, the religious education based on the missional aspiration led by schools founded by religious organizations, in the standpoint of the assurance of their identity, is now facing the need to learn about other religions. At present, these schools tend to avoid education on general religion due to potential confusion in ‘religious identity’, but it was revealed that ‘religious identity’ could be formed through the mirrors of other religions. Third, interreligious education was proposed as an alternative in addition to practice of dialogic religious education to overcome the obscurity in the purpose of religious education.

Ⅰ. 서론

Ⅱ. 종교교육과정의 목적 변천

Ⅲ. 종교교육 목적 변천의 평가

Ⅳ. “상호종교교육”을 위한 제언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