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매트릭스 위에 서 있는 아이들, 너의 이야기를 선포하라!

The Children Standing on the Matrix: Proclaim Your Stories!

  • 10

본 논문은 2년전 또래의 온라인 폭력에 무력감을 느끼고 자살한 대구 중학생의 사례를 들면서, 온라인의 폭력적 담화가 얼마나 인간을 파괴적으로 만들 수 있는가를 이야기하였다. 또한 이런 상황에서 인간이 주체적이 되어 간다는 것은 자신안의 무력감을 돌파하여, 하나의 내러티브를 갖는 것인데, 대구 중학생은 사이버공간에 자신의 정체성을 너무 많이 함몰시켰기 때문에, 항거불능의 상황에 빠질 수밖에 없었다. 또한 현실의 세계가 그에게 말할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지 못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인간이 자기 이야기를 갖기 위해서는 수용의 경험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필자는 기독교신학이 갖고 있는 환대로서의 예배와 상호텍스트로서 성서가 갖고 있는 다의적인 의미, 그리고 이야기가 갖고 있는 해체를 통한 재구성의 치료적 효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모든 것의 토대인 기독교신학은 인간이 갖고 있는 어둠의 의미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이야기의 아이러니가 갖고 있는 비극성을 충분히 재고하여, 삶의 통전성을 회복시키는데 기여해야 한다.

This research paper deals with how the online violent narrative makes a human being become destructive, pointing the case of a middle school student who had suffered from the online violence by his peer group, and finally committed suicide in Dae-gu city. Being an independent human means that he/she is able to overcome the feeling of helplessness, and have his/her own narrative. In this case, however, he was not able to resist against the online-violence, and had to committe suicide because he was confused about his distorted identity in cyber space. It is another reason for his suicide that the real world where he lived did not offer a safe environment to speak his own narrative. Exploring this case study, I have arrived a strong conviction that to have own narrative, a human being have to experience “acceptance.” To explain the addressed thesis statement, I deal with three important tools to experience ‘acceptance’ in Christian theology as follows: (1) Christian worship service, which offers hospitality, (2) the Christian Bible as a mutual text that has multiple meanings, and (3) the therapeutic effect through destruction and reconstitution of a narrative. In addition, Christian theology, the basis of above three tools, should not exclude the meaning of darkness, but rather actively accept it. It also contributes to recover the wholeness of human life through reflecting the tragedy of irony in the narrative.

Ⅰ. 들어가는 말

Ⅱ. 영혼의 병을 앓고 있는 아이들

Ⅲ. 잃어버린 이야기를 찾아주기

Ⅳ. 환대하시는 하나님, 절망과 소통하는 상담자

Ⅴ. 나가는 말: 나의 이야기를 말하리라!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