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불교교육학의 종교교육적 성격과 과제

The New Vision of Religious Education in Buddhism

  • 16

종교교육의 한 영역으로서 불교교육학의 성격이 논의되기 위해서는 불교교육학의 연구영역, 연구방법론, 타학문과의 관계 등이 분명하게 해명될 필요가 있다. 학문적 정체성과 관련하여 불교와 교육의 관계, 불교와 종교교육의 관계, 불교와 종교학의 관계들도 구체적인 탐구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문제는 종교교육 자체의 학문적 성격에 대한 논의와도 유사한 고민이라고 할 수 있다. 불교교육을 불교의 교육, 불교에 관한 교육, 불교적 교육으로 나눈 방식은 종교교육의 연구영역을 구분하는 방식과 상응하는 일관된 구조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따라서 불교교육의 학문적 정체성 문제는 종교교육의 학문적 정체성과 함께 논의되고 풀어가야 할 과제로 인식된다. 지난 20여 년간 다양한 방식으로 불교교육의 연구가 진행되어 온 것은 불교교육과 종교교육 연구의 성장 면에서 상당히 고무적인 일이다. 종교교육 연구의 대표적인 학술지인 종교교육학 연구지에 게재된 불교교육 연구는 양과 질의 측면에서 다른 영역보다 월등하다. 이러한 성과는 연구의 다양성과 깊이에서 불교교육 이론뿐만 아니라 실천의 측면에서도 적지 않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불교교육의 개념 정립의 문제, 종교 간 비교의 문제에 대해서는 앞으로 더 구체적이고 심도있는 논의가 진행되어야 한다. 이 두 가지 문제는 불교교육이 독립적 학문의 영역으로 자리하고, 타학문과의 연계를 긴밀하게 확대해 나가는 데 반드시 필요한 논의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about researching on the religious education in Buddhism.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field, methodology and relation with other domains of knowledges in the study of Buddhist education. The disciplinary identity of Buddhist education is concerned with the relations between Buddhism and education, Buddhism and religious education, and Buddhism and science of religion. “Buddhist education” falls into the three categories such as “education of Buddhism”, “education about Buddhism”, and “Buddhistic education.” Education of Buddhism means the education to help one believe and understand the Buddhist teaching for the practice of Buddhism, while education about Buddhism to learn the theories and history about Buddhism as an academic attention. Buddhistic education is not directly concerned to the practice or believing of Buddhism. It is an educational judging, adopting, and practicing a spiritual and practical life based on Buddhist teaching as an educational dimension. The suggestions for the progress in the study of Buddhist education as follows. First, the fundamental concepts of Buddhist education need to clarify the meanings for setting up the disciplinary system such as ‘spirituality”. Second, comparative studies in Buddhist education are to be proceeded more attentively avoiding the mistake of category. Finally, the independence of disciplinary domain in Buddhist education needs to study on identity of Buddhist education with the profound and wide attention.

Ⅰ. 서론

Ⅱ. 불교교육학의 종교교육적 성격

Ⅲ. 불교교육학의 종교교육적 과제

Ⅳ.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