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공교육적 종교교육의 정체성 모색과 ‘종교학’ 교과

Religious Education for Public Schooling and Its ‘Science of Religion’ Curriculum

  • 20

본 논문의 목적은 21세기적인 공교육 속에서 종교교육의 정체성이 추구해야할 방향을 철학적, 심리학적,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모색하고, 그 정체성의 기초 위에서 고등학교의 교양교과인 ‘종교학’ 교과에 대한 바람직한 접근의 성격을 논하는 데 있다. 종교교육의 정체성 모색은 공교육 속에서 종교교육의 위상, 방향, 그리고 역할을 탐구하는 것을 의미하며 그 내용은 다음을 포함한다. 첫째, 현재의 지성사적 흐름인 포스트 모던적 철학의 패러다임 속에서 영성의 존재론적, 인식론적 가치가 공적으로 인정되고 있으며, 공교육의 종교교육은 인간교육, 전인교육, 시민교육의 일환이 되어야 하는 중요한 영역으로 평가될 수 있다. 둘째, 공교육의 종교교육이 추구하는 종교성(영성)과 자아의 초월적 목표가 트랜스퍼스널 심리학의 연구와 임상적 실험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확인됨으로서 종교는 바야흐로 과학과의 결합을 통해 교육의 인간이해의 영적 지평을 넓혀가고 있다. 셋째, 한국 사회의 다 종교적 상황과 높은 비율의 무 종교성, 그리고 포스트모던 문화의 무규범성과 무중심성에 대한 관심은 공교육적 종교교육이 담당해야 하는 사회적 역할의 기초가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종교교육의 정체성이 ‘종교학’교과의 방향을 통하여 이루어지기 위하여 필요한 원리는 전반의 정체성 뿐 만 아니라 종교학적 본질에 기초를 두어야 한다는 점을 설명했으며, 그 같은 기초 위에서 현재의 교과 목표(임시적)를 분석 비판 하였다. 그리고 이 같은 정체성과 맥을 같이 하기 위한 ‘종교학‘교과의 방향은 종교성(영성)적 접근의 원리, 궁극적 실재와 자아초월의 원리, 그리고 이 셋을 포괄하는 종교 다원주의 적 원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논하였다. ‘종교학’ 교과의 방법적 원리는 방향적 접근과 맥을 같이 해야 하는 것으로, 네 차원에서 설명하였다. 첫째, 교과 내용과 방법이 청소년의 실존적 관심과 문제를 연계해서 전개해야 한다는 것, 둘째, ‘종교학’교과 내용은 교육과정 내에 있는 종교관련 타 관련교과들의 내용과 연계해서 가르쳐야 한다는 것, 셋째, 다양한 종교들을 평면적으로 비교하기 보다는 다원주의적 대화의 원리에 의해 학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 마지막으로 종교학의 교육이 주지주의적인 교육이 되지 않기 위하여 명상을 비롯한 직 간접 체험의 원리를 도입할 것을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ssential nature of religious education for Korea’s public schooling in the 21century, and its curriculum approach to ‘the Science of Religion’, the religion subject-matter for high school. The nature of religious education is explored by analyzing the new status of spirituality in the post-modern paradigm, trans-personal psychological perspective of human self, socio-religious conditions of Korean society, and the problems of post-modern cultural phenomenon. The value of spirituality for humanity is rediscovered by post-modern paradigm, finding its important status for general education. Religious education for public schooling needs to be regarded as an essential part of education for humanity and citizenship, thereby confirming that the kind of religious education by non-partisanship is the area that only public education is able to provide. The importance of self-transcendence as an educational aim is supported by the researches of transpersonal psychology by integrating the clinical findings and religious approaches, enlarging the horizon of human understanding themselves. And the extreme multiplicity of religious affiliations of Korean people, and the anomie state of the today’s post-modern culture also lead to the recognition of special nature of educational needs for the religious education for public schooling. In alignment with the essential nature of religious education, ‘the Science of Religion’ as religious curriculum is discussed in three aspects: First, disciplinary basis of the religious curriculum and the present objectives of the curriculum are analyzed, in term of the essential nature of religious education. Second, the direction of the subject-matter should develop on the principle of spirituality, sense of the Ultimate reality, and self-transcendence, and the perspective of religious pluralism. Finally, methodological approaches to the classroom teaching are discussed in terms of educational principles such as the principles of connecting with the existential concerns and problems of the high school adolescence, and relating with religious curriculum contents of other subject-matters, and principle of approaches for religious pluralism, and principles of direct experiences, including contemplation, visiting different religious institutions, and utilizing religion-related mdia and works of art.

Ⅰ. 서론

Ⅱ. 종교교육 정체성 모색의 다 학문적 기초

Ⅲ. 공교육적 종교교육의 정체성 방향

Ⅵ. 종교교육의 정체성과 ‘종교학’ 교과에 대한 접근 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