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경전을 통해서 본 성과 성교육에 대한 불교의 관점

The Buddhist View on Sexuality and Sexu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Scriptures

  • 3

이 글에서는 불교경전에 나타난 성에 관한 가르침을 현재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성 문제와 관련하여 고찰해 보았다. 불교에서 성에 대한 욕망 내지 감각적 욕망은 극복하거나 또는 절제해야 하는 것으로 파악되는데 그 이유는 지나친 욕망의 추구는 결국 고통으로 귀결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식은 불교의 성교육에 있어서 기본이 돼야 할 것으로서 이를 통해 성에 대한 자발적인 절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대승불교에 있어서는 보살행의 실천을 중심으로 성에 대한 다양한 가르침이 전해지고 있어서 반야경에서는 오욕락을 누려도 해탈에 대한 의지를 잃지 않으면 계를 어기지 않는 것으로 보는 반면에 몇몇 다른 경전에서는 사음에 뒤따르는 무서운 과보에 대한 묘사를 통해 부적절한 성에 대한 욕망은 반드시 근절해야 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불교의 성에 대한 가르침이 감각적인 즐거움과 그에 따른 행복에 대해서 긍정적이지 않은 것은 행복 자체를 나쁘게 보아서가 아니라 그것이 지속가능한 행복이 아니기 때문이며 감각적 즐거움의 본질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극복을 통해서 진정한 행복에 이르는 길을 제시하고 있다. 재가자의 행복한 결혼생활을 위해서 욕망은 절제되어야 하며 그렇기 때문에 불교에서 성 교육의 출발점은 성에 대한 욕망의 실체를 알도록 하는 것에 있다고 할 것이다.

In this article the Buddhist teachings about sexuality are analyzed in relation to the sexual problems of the present. In Buddhism, sexual or sensual desire is understood as that which should be overcome because too much indulgence in sexual pleasure inevitably results in suffering. This awareness should be a fundamental basis of Buddhist sexual education in order that voluntary self-restraint can be possible. In the Mahāyāna Buddhist scriptures there are some teachings which contradict one another. While the Prajna Paramita Sutra, for example, claims that enjoyment of the five kinds of worldly happiness should not be regarded as unwholesome, so long as one keeps to practice to be liberated from the samsaric world, other scriptures describe severe punishments for improper sexual conduct in order to inhibit people from engaging in such misconduct. The reason why Buddhist teachings discourage sensual pleasure is not to deny people happiness, but because such happiness is fleeting and Buddhist teachings point the way to real happiness. Sexual life is important for a happy marriage, but what is more important in family life is the love and understanding between partners and a proper nurturing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nd child. Without maintaining a proper perspective regarding sensual desires, voluntary self-restraint is impossible. Therefore the starting point of Buddhist sexual education should be providing an understanding of the true nature of sexual desire.

Ⅰ. 시작하는 말

Ⅱ. 붓다의 성윤리

Ⅲ. 빨리경전의 성윤리

Ⅳ. 대승경전의 성윤리

Ⅴ. 현대사회와 불교 윤리

Ⅵ.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