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국가 교육과정이 지닌 특성을 살펴보고, 통일교계 고등학교의 종교 교과서 개정판을 평가하며, 미래의 종교 교과서 개발 방향을 탐색한 것이다. 한국에서 중등학교 종교교육의 문제는 종교의 자유와 교육권 사이의 충돌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종교 교과서도 그렇다. 통일교의 중등학교 종교 교과서는 국가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2010년에 개정되었다. 통일교의 종교 교과서는 교육목표와 경험내용이 이해를 위주로 하고 있다. 서술된 경험내용에는 추상적 표현이 많고, 개념이나 낱말 또는 표현의 수준이나 방식 등에서도 중ㆍ고등학생들의 삶과 밀착되지 못한 면이 있다. 또한 경험내용이 학습자가 이해하기 어렵게 서술된 것이 적지 않다. 그리고 교수ㆍ학습활동에서 학습자보다는 교사가 주도하도록 되어있다. 미래 교과서의 개발과 관련하여 다음의 세 사항이 제시되었다. 첫째, 종교교과의 성격이 재검토되어야 한다. 국가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이 종교적 이해뿐만 아니라 삶을 탐구하고 깨달음을 지향해야 하고, 그 분량이 너무 방대하므로 축소되어야 한다. 둘째, 입시위주의 열악한 수업환경이 개선되고 중등교육이 정상화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 현장의 요구를 반영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curriculum about the religious subject, to evaluate a revised edition of the Unificationism textbooks,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for future religious textbook. The religious textbooks of Unificationism school have been revised reflecting a national curriculum in 2010. The textbooks focuses on ‘understanding’ in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s. There are abstract expressions in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textbooks. There are also some gaps between the lives of students and the levels of concept, word, and expression of the textbooks. Some contents of the textbooks are hard for students to understand. Teachers comes to lead teaching-learning activity than the student in the religious textbooks. The three preconditions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religious textbook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religious subject should be reviewed. The goals and contents of the national curriculum about the religious subject should aim to the searching and enlightening the meaning of life as well as religious understanding, and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should be reduced. Second, the poor environment of school that focuses only on entrance examinations should be reformed and the secondary education should be normalized. Third, an organization reflecting the demand of education arena is necessary.
Ⅰ. 서론
Ⅱ. 국가 교육과정의 개정
Ⅲ. 통일교 교과서의 개정과 평가
Ⅳ. 미래 교과서의 개발 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