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글로칼리즘을 향한 가톨릭 종교 교과서 개발

A Study on Development of Catholic Textbooks in Concordance with Glocalism

  • 2

현재 한국 내 236개의 종립 고등학교 중에 114개의 학교가 ‘종교’과목을 선택, 운영하고 있다. 이들 중에 88개의 종립학교가 종교 이외의 과목을 포함, 복수 과목을 편성하여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가톨릭계 고등학교의 경우, 38개 가톨릭 고등학교 중에 종교과목을 선택하여 수업을 운영하고 있는 학교는 9개교, 종교 이외의 과목을 포함, 복수 과목을 편성하여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는 9개교로 나타났다. 여기서 주목해 볼 만한 현상은 이러한 종립 학교에서 실제로 종교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학교 수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점이다. 236개의 종립 고등학교 중에 114개의 학교만이 종교과목을 선택과목으로 지정하여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는 것은 종립학교가 자신의 정체성을 더 이상 종교과목에서 찾지 않고 있다는 것을 반영하는 것일 수도 있다. 게다가 2008년에 ‘학교 자율화 추진 계획’이 발표된 뒤, 가톨릭 학교들 중에 자율형 사립학교로 선정되는 고등학교가 생겨나면서 입시위주의 풍토에서 종교교육을 하기에는 더더욱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이러한 교육 환경 속에서 종교 교과서 개정은 시급한 요청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먼저 종교교육실행에서 근본적인 토대가 되어야 할 현행 고등학교 종교교과서(가톨릭)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새로운 종교 교과서 개발을 하는데 있어서 새 교육과정에서 나타나는 종교교육이 지향할 점과 간과하고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나아가 현대 한국 사회가 요구하는 가톨릭 종교 교과서의 개발을 위한 접근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이러한 모색을 통해 종교 교과서의 세계화, 즉 시민교육의 토대로서 보편적[global] 종교문화교육과 문화 복음화로서의 토착화된[local] 종교교육이 조화된[glocalism] 종교 교과서 개발의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At present, 114 of the 236 high schools, founded by religious foundations, selected ‘Religious Education’ (R.E.) as a subject for their curriculum. 88 of these schools chose other subjects along with Religious Education. Among 38 Catholic high schools, 9 selected Religious Education, but the other 9 chose other subjects instead. It is notable that only half of the schools founded by religious establishments actually have Religious Education classes. This means that most schools founded by religious establishments do not highlight a religion and faith as being integral to the learning that happens at that school. In addition, due to the ‘Autonomous School Policy’ in 2008, some Catholic schools changed into ‘Autonomous Private Schools’, which tend to focus on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s rather than on spirituality and religion. Thus, it is becoming more and more difficult to provide Religious Education classes at school. Considering this educational backdrop, I believe Religious Education textbooks should be urgently revised. In this thesis I analysed various matters of current textbooks that should be fundamental for Religious education. Next, I studied what religious education should strive to become and what we may have overlooked in the new curriculum. In this way, I tried to find a way to develop Catholic textbooks to reflect the needs of modern Korean society today. Through my investigations, I studied the globalization of the Religious Education textbook-that is, ‘Global Religious and Cultural Education’ as a foundation of public education and also the means for developing global textbooks in concordance with local Religious education.

Ⅰ. 들어가며

Ⅱ. 현행 가톨릭 종교 교육의 실태

Ⅲ. 새로운 교육과정에 나타난 종교교육의 지향점과 한계

Ⅳ. 가톨릭 종교교과서의 개발을 위한 접근방법

Ⅴ. 나오며-글로칼리즘(Glocalism)에 적합한 종교교과서를 위하여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