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가톨릭 초등학교의 전문적 학습 공동체성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Catholic Elementary Schools in Korea: Perceptions of the Teaching Staff

  • 6

본 연구는 한국 가톨릭 초등학교들의 전문적 학습 공동체 형성 정도를 파악하고, 이러한 공동체 형성에 기여하는 요소들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문적 학습 공동체 평가’ 도구로 교사단의 인식을 측정하는 양적 연구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가톨릭 초등학교 6곳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세 곳(Y그룹)은 전문적 학습 공동체를 형성했고, 나머지 세 곳(X그룹)은 형성과정 중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단의 일반적 특징과 영역별 인식 차이, 학교의 외적ㆍ내적 특징을 비교했을 때, X와 Y그룹 사이에 눈에 띄는 차이점은 학교 내적인 측면에서 드러났다. 두 그룹은 학교가 추구하는 가치와 비전에 대한 인식과 공유, 교사들의 내재적 동기화, 자발적인 협력문화, 신뢰관계 등 네 가지 점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교에서의 전문적 학습 공동체 형성이 학교의 규모나 소속 지역 등의 외형적 측면이나 성별, 보직, 연령, 교수기간 등 교사단의 일반적 특징에 의해 좌우된다기보다는 학교 구성원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학교 문화의 측면이 강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whether Catholic elementary schools in South Korea buil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PLCs) in their schools, and to examine what are elements that contribute to building such communities. The methodology involves a quantitative study approach designed to gain information regarding perceptions of the teaching staff using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ssessment’ instrument. This study included six Catholic elementary schools. The results show that among them, three completed the process of developing a PLC in their school (group Y) while the other three were still working on the process (group X). I compared groups X and Y in terms of four dimensions: perception differences about five dimensions of a PLC among the teaching staffs,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Notable differences were revealed in the internal dimension of groups, X and Y. The two groups of schools were distinct in four ways: in the way they perceived and shared their schools’ values and vision; in the internal motivation of the teaching staff; in their voluntary collaborative culture and in the level of their trusting relationships. This shows that in establishing a PLC in a given school, more depends on the cultural dimensions that its members contribute in a collaborative way rather than on external dimensions such as school size and location or demographic dimensions such as gender, position in school, age and the number of years spent in teaching.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