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고대교육사 연구와 불교 지성으로서 고승

Venerable Monk as Buddhist Intellectual in the History of Korean Ancient Education

  • 3

이 논문에서는 우리 고대 교육사 연구가 그 동안 너무 ‘국가’나, ‘제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으며, 그 결과 국가의 통치 이데올로기인 유교 중심의 교육사 연구, 학교 중심의 교육사 연구에 치중할 수밖에 없었다는 인식 아래 교육사 연구의 폭과 넓이를 좀 더 심화 확대시키기 위한 한 방법으로 인물을 교육 미디어로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생각에 따라 고대 사회의 불교 지성인 고승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그들의 지성의 형성 과정과 지성의 발현, 전개 과정을 고찰하였다. 제Ⅱ장에서는 이 논문에서 왜 불교 지성으로 고승을 고찰하는지, 고승의 일생을 어떻게 고찰할 것인지를 논의하였다. 제Ⅲ장에서는 고승의 일생을 크게 세 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의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불교 지성이 어떻게 형성되고 어떻게 발휘되는지를 고찰하였다. 결론에서는 우리 고대 사회에서 불교의 학문적 전통과 유교의 학문적 전통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불교 지성과 유교 지성의 특성과 차이는 무엇인지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불교 지성 연구를 통해 고대 교육사 연구에서 자리를 찾지 못한 불교의 위상을 찾을 수 있을 뿐 아니라 국가주의나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탈피한 교육사 서술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Venerable monk as Buddhist intellectual in the History of Korean ancient education. This paper is divided into four chapters. In chapter Ⅰ, ‘introduction’, I will examine the point at issue of research of History of Korean ancient education. I made a suggestion that researcher have to pay attention to the ‘man’ than to the system of education. In chapter Ⅱ, ‘Venerable monk as Buddhist intellectual’, I will give a full explanation to research issues and research method, why and how examine Venerable monk as Buddhist intellectual. In chapter Ⅲ, ‘A life of Venerable monk as Buddhist intellectual in History of Korean ancient education’, I divide the life of Venerable monk into three periods, birth and growth period, study and training period, teaching period. In chapter Ⅳ, ‘conclusion’, I tried to elucidate the difference of educational tradition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In this paper, I stressed the importance of Venerable monk as Buddhist intellectual in the History of Korean ancient education.

Ⅰ. 머리말

Ⅱ. 불교 지성으로서의 고승

Ⅲ. 한국 고대 불교 지성으로서 고승의 일생

Ⅳ.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