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교육과정에서 지식교육의 신화에 대한 기독교적 대안

Christian Alternatives to the Myths of Knowledge Education in Curriculum

  • 7

교육에 관한 다양한 신념들 중에는 잘못된 신화들이 있어서 여러 가지 교육적 문제를 일으킨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 교육과정에서 중시하는 지식교육과 관련하여 어떤 잘못된 신화들이 있는지를 일반 학문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기독교적 대안들을 탐구한다. 제2장에서는 ‘객관주의적 지식’의 신화를 비판하며, 교육적 앎의 성격과 기독교적 인식구조를 논의한다. 객관주의적 인식구조는 인식주체가 인식대상을 조작, 지배, 소유하는 적대적 관계를 가진다. 이와는 달리 기독교적 인식구조는 인격성, 상호성, 공동체성을 강조하는 새로운 존재양식과 가치관을 내포한다. 제3장에서는 ‘지식의 가치중립성 및 도구성’의 신화를 비판하며, 지식교육의 가치문제를 논의한다. 흔히 지식은 가치중립적인 것이라고 생각되지만, 이 경우 지식은 외부의 수단 내지 도구로 전락된다. 이에 지식을 비판적으로 보아야 하며, 지식의 내적 가치를 인식해야 함을 지적한다. 기독교적 관점에서 볼 때, 지식은 생명을 살리는 것, 그리고 공동체와 개인의 정체성을 회복시키는 것임을 설명한다. 제4장에서는 ‘지식의 기초는 인간의 이성과 경험’이라는 신화를 비판하며, 인간 이성의 한계 및 여호와를 아는 것이 지식의 근본이라는 기독교적 주장을 살펴본다. 근대에는 지식이 인간의 이성과 경험에 기초한다는 정초주의 인식론이 지배하였으나, 해석학 및 포스트모더니즘은 이것을 비판한다. 그러나 현대철학은 자칫 상대주의로 흐르며, 근본적인 대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기독교적 관점은 인식에서의 인간 이성의 한계를 지적하며, 유대인의 쉐마교육에서 나타나는 내러티브에 기초한 인지양식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지식교육이 여러 문제를 보완하되, 기독교적 영성교육에 의해 보완되는 전인교육으로 나아가야 함을 제안한다.

There could be false myths on education, which could cause various social and educational problems. Thus we need to check wether there is any false belief in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lies in criticizing some myths in knowledge education, exploring alternatives to them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In chapter Ⅱ, I criticized the myth of objective knowledge. The cognitive structure of objectivism depicted the knower as the arrogant spectator who actively manipulates and exploits the known, while it described the known as the passive object possessed and governed by the knower. Thu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nower and the known became hostile to each other. Unlike this, Christian cognitive structure emphasized the reconciled relationship between the knower and the known. In chapter Ⅲ, I dealt with the myth of value-neutrality and instrumentality of knowledge, discussing the purpose of knowledge education. Here I explained that value-neutral and instrumental knowledge could hurt people. I also argued that any human social practice already implied its internal goods. So teaching knowledge should include teaching internal purposes and goods of each practice, so that we could revive people’s lives and the welfare of the community. In chapter Ⅳ, I examined the myth that the foundation of knowledge was human reason and experience. I told that knowing God was the foundation of knowledge, showing the limits of human reason and experience.

Ⅰ. 들어가는 말

Ⅱ. ‘객관주의적 지식’의 신화: 교육적 앎의 성격 바로잡기

Ⅲ. ‘지식의 가치중립성 및 도구성’ 신화: 지식의 목적 바로잡기

Ⅳ. ‘이성에 기초한 지식’의 신화: 지식의 기초 재음미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