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장아함경에 나타난 언어적 상호작용의 교육적 의미

A Study on Educational Meanings of “Verbal Interaction” in the Dīghāma sūtra

  • 5

본 연구는 장아함경에 나타난 불타와 제자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교육적으로 분석하여 재조명함으로써, 현 교육의 활용가능성을 살피는 것이 목적이다. 불타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측정은 Edward와 Mercer(1987)의 수업 분석 발달 준거에 의해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불타의 언어적 상호작용은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첫째, 불타는 개방적 질문으로 상호작용의 시작이 주를 이루었고, 제자들의 질문이나 게송에 의한 질문도 나타났다. 둘째, 불타의 질문형태는 단순 확인이나 기억질문보다는 사고 질문의 적용이나 예측ㆍ추론, 메타질문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피드백의 특징으로 제자들의 응답을 수용하고 받아들이는 태도를 보였고, 지연피드백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칭찬과 격려로 다음 문제해결에 자신감을 부여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불타의 언어적 상호작용에서 강조하는 것은 교사의 역할이다. 즉 교사는 아동에게 단순한 지식의 암기나 주입이 아니라, 아동 스스로 내면적인 깨달음을 얻어 새로운 삶의 방향을 이끌어 주기 위해 자신을 스스로 갈고 닦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s of the Buddha’s verbal interactions, which is used in Buddha’s dialogues with his disciples in Dīghāma sūtra and how his method can be applicable to contemporary educational fields. The tests used was Edward & Mercer(1987)’s development criteria for class analysis which deals more on Qualitative Methods for Buddha’s verbal interaction in Buddha-disciples discussion. The results of Buddha’s verbal interaction showed. Firstly, the Buddha uses open questions at the interaction begin. Sometimes his disciples ask questions or ask gathas at the interaction begin. Secondly, format of Buddha’s questions consist of the application, inquiry, reasoning and meta questions rather than the confirmation and memorization questions. Thirdly, the Buddha’s feedback to the disciples interestingly indicates that Buddha shows his disciples the attitude of accepting and receiving disciples’ replies, invites different responses from other disciples by reserving instant answers or judgements to the disciples, and gives the disciples the confidence of solving the next problem by praising and encouraging them. Finally Buddha’s verbal interaction emphasized not only memorizing and one way teaching for simple knowledge but better knowing of inner self.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eachers should try to be a good teachers who can lead and direct the children to a better life.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장아함경에 나타난 언어적 상호작용분석

Ⅳ. 장아함경에 나타난 언어적 상호작용의 교육적 의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