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원불교 영성이 생활영성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더 나아가 인간의 삶의 현장에서 실천되고 활용되도록 종교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밝히고자 하였다. 생활영성의 핵심은 일상생활 또는 일상성에 있다. 종교적 영성이 자신의 삶과 사회를 떠나서 존재해서는 안 됨을 의미한다. 영성의 가치가 특정한 시간과 공간 그리고 대상에 따라 제한을 받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인간 개개인이 영성의 주체자가 되어야 하고, 각자 처해 있는 현실과 대상과의 관계 속에서 그 영성이 발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동안 원불교에서도 영성의 의미를 진리의 근원자리나 인간의 본성에 국한하여 그 의미를 좁게 규정해왔다. 그런 관계로 영성이 자신의 삶과 생활 더 나아가 사회현실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였던 것이다. 원불교의 기본 교리인 일원상의 진리와 사은사요 삼학팔조 등은 원불교인 뿐만 아니라 인류가 실천해야 할 생활영성적 요소들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원불교 영성을 생활화하고 보편화하기 위해서는 종교교육의 역할이 새롭게 요청되는 것이다. 이제 원불교 종교교육은 본질에 충실해야 한다. 원불교이념이나 교리의 전파, 원불교교도화를 넘어서서 종교성을 길러주는 종교교육에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 앞으로 원불교 종교교육은 종파를 떠나 개인적으로 원만한 인격자가 되도록 해야 하고, 사회적 측면에서는 상생과 평등의 가치를 생활 속에서 실현하여 행복한 세상의 주인공이 되도록 하는데 그 초점을 두어야 한다.
This study aim at explaining that spirituality is understanded by life-spirituality, in addition to that religious education must be accomplished in spot of life for practice and application. The point of life-spirituality consist in daily life or usual life. This means that religious spirituality is not apart from self life and society. The value of spirituality must not be restricted in special time. space, object. Each and every person must be become the main body of spirituality. Spirituality be manifested in every individual of reality and relations with object. Meanwhile wonbuddhism have understanded narrowly the mean of spirituality as truth source and human nature. Such reason, spirituality have a little effect on self life, existence and society reality. The truth of il-won-sang and the fourfold grace, the four essentials, the threefold study, the eight articles, basis doctrine of wonbuddhism, preserve essential element of life-spirituality that not only wonbuddhism but also mankind must practice. For life and universality of wonbuddhism spirituality, the role of religious education is requested freshly. Now, the religious education of wonbuddhism must be substantial in religious essence. Wonbuddhism does it’s best for religious education to cultivate religiosity beyond propagation of dogma, believerization of wonbuddhism. In future, the religious education of wonbuddhism make all-round character beyond a religious denomination, in social side, focus to be hero of happy life through value realization of co-existence and equality in existence.
Ⅰ. 들어가는 말
Ⅱ. 생활영성에 대한 이해
Ⅲ. 원불교 영성이해를 위한 교리 구조적 접근
Ⅳ. 원불교 종교교육에서 영성교육의 기점
Ⅴ. 나오는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