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전통사회의 교육공간으로서 불교의 사원

A Buddhist Temple as Educational Space in Korean Traditional Society

  • 8

이 논문은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제3회 국제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논문을 수정 보완한 글로서, 우리나라 전통사회의 교육공간으로서 불교의 사원의 역할을 고찰한 글이다. 그 역할을 여기서는 세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고 고찰하였다. 제2장에서는 문자적 특성이 강한 유교문화와는 달리 상대적으로 비문자적 특성이 부각되는 불교문화를 담고 있는 사원이 가지는 민중교화의 공간으로서 역할을 고찰하였다. 제3장에서는 삼국시대 이래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학교의 대체공간으로서의 역할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제4장에서는 유가 지식인의 독서공간으로서 사원의 역할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 결론에서는 불교 사원의 특성을 교육내용의 관점이 아닌 미디어의 관점에서, 교화의 공간, 열린 공간, 세속과 격리된 공간으로 파악하였다. 이러한 특성은 참여자의 참여 가능성을 높게 보장함으로써 근대적 교육의 ‘만드는’ 교육에 맞서 인간의 본래 성품을 ‘기르고’, ‘찾는’ 존재의 장으로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role of a Buddhist temple as educational space in Korean traditional society. This paper is divided into five chapters. In chapter Ⅱ, ‘A Buddhist temple as educational space of common people’, I will examine educational trace of master of a Buddhist priest, like Won Kwang(圓光), Uei Sang(義湘), Won Hyo(元曉), Jin Gam(眞鑑). Also I will examine educational trace by discipline association. In chapter Ⅲ, ‘A Buddhist temple as alternative space of Confucius school’, I will examine the role of a Buddhist temple as alternative educational space in Korean traditional society. In chapter Ⅳ, ‘A Buddhist temple as study space of an intellectual’, I will examine the role of a Buddhist temple as study and relaxation space of an intellectual in Korean traditional society. In chapter Ⅴ, ‘Conclusion’, I tried to elucidate a Buddhist temple in relation to media.

Ⅰ. 머리말

Ⅱ. 민중 교화의 공간으로서 사원

Ⅲ. 학교의 대체공간으로서 사원

Ⅳ. 지식인의 독서공간으로서 사원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