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959.jpg
KCI등재 학술저널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직무스트레스 및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Self-Efficacy on Psychological Burnout

  • 472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경기 지역에 소재하는 어린이집에 종사하고 있는 보육교사 179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관관계, t-검증, F-검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학력이 높을수록 과제 난이도와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도(가치적 요인, 내재적 요인, 외재적 요인)와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심리적 소진은 부적 상관이,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자신감, 자기조절)과는 정적 상관이, 자기효능감(과제난이도)과는 부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보육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만족도(가치요인), 직무스트레스(행정요인, 활동요인), 자기효능감(자신감)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소진에 대처하기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find a way to prevent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by examining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self-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on psychological burnou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9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day care centers located in the Gyeonggi area. To this end, correlation, t-test, F-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for data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of the childcare teacher, the higher the difficulty and self-efficacy of the task. Second, job satisfaction (value factor, intrinsic factor, external factor) and job stress,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burnout had a negative co-rrelation, job stress and self-efficacy (confidence, self-regula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and self-efficacy ( Task difficulty) had a negative correlation. Third, the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were administrative factors, confidence, value factors, and activity factor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for coping with the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were discusse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